통일과나눔 아카이브 8000만

전체메뉴

학술

  • HOME
  • 논문
  • 학술

한국대북NGO의북한인도적지원및개발협력활동의책무성인식에대한탐색적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Accountability of South Korean NGO's Humanitarian Assistance and Development Cooperation Activities on North Korea

상세내역
저자 신재은, 정소민
소속 및 직함 국제개발협력민간협의회
발행기관 국제개발협력학회
학술지 국제개발협력연구
권호사항 14(3)
수록페이지 범위 및 쪽수 17-35
발행 시기 2022년
키워드 #NGO   #책무성   #인도적지원-개발-평화연계(HDPN)   #인도적 지원과 개발   #북한   #신재은   #정소민
원문보기
상세내역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 대북NGO의 인도적 지원 및 개발협력 활동의 책무성 과 책무성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을 확인하고자 함이다. 연구의 중요성: 한국 대북NGO의 책무성에 대한 학문적인 논의가 활발하지 않고, 대북지원 활동이 현저하게 축소된 상황에서도 대북NGO의 책무성에 대 한 인식을 확인하는 연구를 시도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론: 한국 대북NGO의 대북지원 활동의 책무성 구성요소를 탐색하기 위해 본 연구는 유사한 환경에서 활동하는 한국 개발NGO의 책무성 구성요소 에 관한 신재은(2021)의 연구 결과를 준거 틀로 적용하고, 대표적인 대북NGO 인 우리민족서로돕기와 어린이어깨동무, 대북협력민간단체협의회, 굿네이버 스의 중간관리자(이상)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그 결과, 한국 대북NGO의 책무성 및 책무성 구성요소는 한국 개발 NGO의 책무성 프레임워크의 6가지 구성요소를 일부 수정하여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및 시사점: 책무성의 궁극적인 목적인 평화를 포함하고, 일반시민까지 책무성 주체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다. 또한 책무성 프레임워크를 기능적으로만 활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책무성은 시대적 변화, 의무 부과 주체, 성과, 단/장기의 시간적인 관점 등 변화하는 개념이기에, 본 연구의 결과로 제시된 책무성 프레임워크를 적용해가면서 그 의미를 더욱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이와 더불어, 단체별 역량의 차이, 개별단체 뿐만 아니라 한국 대북NGO 그룹에 대한 영향력, 다양한 주체에 대한 책무성의 딜레마를 고려해야 한다.
목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