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은 해방 이후부터 사회주의적 계획경제를 착실히 구축했다. 그리고 독특한 사회구성체를 완성해냈다. 그것은 수령에 대한 충성과 혁명에 대한 열의가 주민들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행위의 준거가 되는 공동체 사회였다. 수령은 모든 사회적 생산물을 집중시키고 배급을 통해 재분배하는 경제질서를 통해 주민을 통제했고 자발적 동의를 이끌어 냈다. 주민 한사람; 한사람의 욕구를 공동체에서 해결해 주는 수령공동체에서는 화폐의 작동이 필연적으로 요청되는 것은 아니었다. 북한은 다른 사회주의 국가보다 더욱 엄격히 화폐기능이 사회적으로 발현될 조건을 차단하였다. 경제위기 이전까지 북한 사회에서 화폐는 부수적인 것이었다.
북한 경제시스템의 강고한 구심력이 타격을 입은 것은 1990년대의 경제위기 때문이었다. 경제위기는 시스템의 물적 토대를 붕괴시켰다. 재분배 장치는 망가졌고 주민들은 기아선상에 내몰렸다.
이때 화폐의 기능이 살아나기 시작했다. 주민들은 화폐를 매개로 하는 사회적 관계를 확장시키기 시작했다. 화폐경제는 확산되었다. 그 결과 시장도 활성화되어 지역적으로 고립되어 있던 농민시장을 전국적으로 연결시켰다. 화폐적 관계는 생산과 유통을 조직하고 상품 생산을 촉진했다.
한편; 1990년대 중반까지 북한의 시장은 주민들이 주도하는 자생적 성격을 보였다. 그러나 지배권력은 시장에 자신들의 의지를 투사하기 시작했다. 최고 권력자는 그 동안 전유하고 있었던 사회적 과정을 하위의 권력집단에 양도하기 시작했다. 권력분배의 핵심은 시장을 조직하고 운용하는 ‘특권’을 배분하는 것이다. 이로써 지배자와 가신들은 주민들이 자생적으로 조직한 시장을 종속시켰다. 결국 ‘아래로부터’ 조직된 시장은 ‘위로부터’ 기획된 권력에 포획되었다. 곧 ‘자기조정시장’이 완성되었으며 권력은 전사회적 생산성을 수취하는 기제로 시장을 이용했다. 관료적 시장이 성립된 것이다.
화폐가 일상을 지배하게 되자 주민들은 화폐를 획득하기 위해 시장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화폐적 관계에서 지배적 위치를 차지하는 사람들이 등장했다. 이른바 ‘돈주’로 대표되는 화폐권력자들이 기존의 권력엘리트와 결탁했다. 이로써 북한 사회는 ‘후견-피후견’의 금권적 가산체제의 모습을 더욱 강화해 나갔다. 권력집단은 시장에 대한 독점적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지속적인 ‘사보타주(sabotage)’를 실행했다. 시장에 대한 물리적 단속으로 대표되는 사보타주는 시장을 압살하려는 것이 아니라 시장에서 가장 높은 ‘몸값’을 뜯어내려는 권력집단의 영리행위이다.
사보타주와 노선투쟁의 정점에 2009년 화폐개혁이 있었다. 북한의 권력집단은 화폐환수를 통해 일정한도이상의 화폐보유자에게 채무불이행을 선언했다. 그러나 화폐개혁은 주민들이 국가권력으로부터 더욱 등을 돌리게 했다. 오히려 신뢰할 수 없는 국정화폐 대신 외화를 섬기고 통용함으로써 지배층에 저항하게 했다.
화폐경제의 확장은 기존의 북한체제를 떠받치는 또 하나의 모듈; 즉 ‘집단주의적 도덕경제’ 이념을 급속히 해체하고 있다. 기존 공동체의 물적 토대는 붕괴했지만 문화적; 정신적 토대인 ‘도덕경제’는 물질적 조건에 비해 시간적 지체(time lag)가 발생하기 때문에 완전히 와해되지 않았다. 그러나 전 사회적으로 확산되는 비사회주의 현상과 물신숭배(Fetishism)는 공동체의 도덕적 준거(Reference)를 말살하고 있다. 주민들은 화폐적 관계망에 포획되어 돈 없이는 하루도 버틸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 사회는 화폐화를 통해 전개되는 경제사회적 변화를 받아들이고 있다. 표면적으로는 수령-당의 무오류한 신성성이 끊임없이 선포되는 가운데; 내면에는 탐욕스런 마이더스가 웅크리고 앉아 황금주판을 두드리는 혼종체제(hybrid system)로 변화하고 있다.
North Korea built the socialistically planned economy steadily since the liberation. And it completed the unique social structure. The passion for the loyalty and the revolution for the leader formed the identity of residents and it was the society of community being the Reference of action. The leader concentrated all social products; controlled residents through the economic order redistributing through the distribution and derived the voluntary agreement. The operation of money is not necessarily requested in the leader community solving the desire of resident one; and one in the community. North Korea blocked the condition that the function of money is revealed socially more strictly than other socialist countries. The money was incidental in the society of North Korea until before the economic crisis.
What the firm centripetal force of North Korean economic system suffers the blow was because of economic crisis in 1990s. The economic crisis broke down the physical foundation of system. The redistribution device has been broken down; residents have been driven to the starving to death.
This time the function of money started to be recovered. Residents started to expand the social relations with the mediation of money. The monetary economy has been spread. As a result; farmers markets that have been isolated regionally have been connected countrywide as the market has been activated. The monetary relations organized the production and the distribution; the production of goods has been expedited.
Meanwhile; the market of North Korea showed the endogenous character that residents took the lead by the mid-1990s. But; the ruling power started to project its own will in the market. The highest power holder started to transfer the social process that has been exclusively possessed by him in the meantime to lower rank of power groups. The core of power distribution is to distribute ‘the privilege’ organizing and operating the market. With this; the ruler and retainers subordinated the market that residents organized natively. Eventually; the market that has been organized from below has been included in the planned power from above. Soon; the self-regulating market has been completed; the power used the market as the mechanism taking the whole social productivity. The bureaucratic market has been established.
Residents become dependent on the market more to gain the money as the money becomes to control the daily life. Persons achieving the dominant position in the monetary relations appeared. So-called; monetary powerful men being represented as the Donju colluded with existing power elites. With this; North Korean society reinforced the image of plutocratic Patrimonialism of ‘wardship-ward’ more. The power group implemented the continuous ‘sabotage’ to maintain the exclusive position for the market. The sabotage being represented as the physical crackdown for the market is the profit-seeking activity willing to take off the highest ‘ransom’ in the market not willing to squeeze the market to death.
There has been the currency reform in 2009 in the summit of sabotage and line struggle. The power group of North Korea declared the default to holders of money more than certain limit through the money redemption. But; the currency reform made residents turn their back more from the national power. Rather; it made them to resist ruling class by serving and circulating the foreign currency instead of untrustworthy state money.
The expansion of monetary economy is rapidly dismantling another module supporting the existing North Korean system; namely the ideology of ‘collective moral economy’. Even though the physical foundation of existing community has been collapsed; ‘the moral economy’ being the cultural; spiritual foundation has not been completely collapsed compared with the physical condition since the time lag occurred. However; the anti-social phenomena and the Fetishism spreading whole socially are destroying the moral Reference of community. Residents became the state that they cannot endure a day without money as they are caught in the monetary relation network. The North Korean society is accepting the economic and social change being deployed through the monetization in this process. Superficially; it is being changed to the hybrid system that the greedy Midas sitting crouched in the inner side and tapping on the golden abacus while the errorless sacred character of leader-party is being declared ceaselessly.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