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이 책은 한반도 통일연구에 있어 기존 국가중심적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여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 연구총서이다.
|
---|
목차 |
머리말
제1장 통일 후 동북아 외교안보 환경과 한국 외교의 과제 제2장 유엔기구의 대(對)북한 접근의 시사점: UNDP와 FAO/WFP를 중심으로 제3장 한반도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비정부기구(NGO)의 역할: 대북지원 NGO와 북한인권 NGO를 중심으로 제4장 한반도 통일기반 조성을 위한 대북지원 방향: 국가와 국제기구의 역할 비교 분석 제5장 유엔기구의 대북지원 20년(1995~2016): 성과와 과제 제6장 국제기구를 통한 통일 대비 대북지원의 함의: UNFPA의 북한인구조사를 중심으로 제7장 대북지원 20년(1995~2015): 민간단체의 대북지원 성과와 과제 제8장 The Paradox of South Korea's Unification Diplomacy: Moving beyond a State-Centric Approach 제9장 China's Aid to North Korea, Is It Exceptional? A Comparative Analysis with China's Aid to Africa 색인 필자 소개(가나다순) |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