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내용 |
1945년, 국경은 달랐지만 해방은 모두의 일이었다
해방 80주년에 발견한 8.15의 새로운 의미 1945년 8월 15일, 일본 천황이 포츠담선언의 무조건수락을 선언하며 한반도는 해방을 맞이했다. 하지만 해방은 한반도뿐만 아니라 중국, 일본에서 8.15를 맞이한 코리언들의 삶까지 송두리째 바꿔 놓았다. 해방 80주년인 2025년, 한반도라는 작은 렌즈의 프레임에서만 사고했던 8.15를 동아시아로 확장시켜 그 당시 해방을 맞이했던 코리언들의 삶을 되짚어 보고, 의례적으로 기념하는 ‘국경일 8.15’가 아니라 현재 코리언들의 삶에 풍부한 사유를 제공하는 8.15와 만난다. 이 책은 한ㆍ중ㆍ일의 역사 교과서에 기록된 8.15, 해방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소설가 이태준의 단편소설ㆍ중국 동북 지역 조선인 시문학ㆍ재일조선인 소설 작품, 8.15를 맞이했던 전남 보성군 회천면·북한 사회·재일조선인 사회 등 지역의 모습을 보여 주며, 서로 다른 국가(지역)에서 해방을 겪으며 환희와 공포에 휩싸였던 그때의 풍경으로 안내한다. 또 현재 ‘코리언’이라는 이름 아래 모인 남과 북의 청년, 재중조선족과 한국인, 재일조선인과 한국인의 대담을 통해 지난 80년의 세월이 가져다준 서로의 차이점을 이해하고, 다르지만 닮아 있는 코리언들의 연결 끈으로서 8.15의 의미를 새롭게 확인한다. 이를 통해 레드 콤플렉스를 극복하고 냉전적 인식과 혐오를 넘어 반차별주의와 페미니즘을 지향하는 코리언들의 미래를 함께 그려 본다. |
---|
목차 |
들어가며: 국경일 ‘8.15’와 8.15 기억하기_ 박영균 5
1부 동아시아의 탈식민과 냉전, 공식 기억의 교차 1. 1945년, 중국의 기념일과 배제된 재만조선인의 기억_ 박솔지 36 2. 해방과 패전의 카오스, 재일조선인과 일본인의 서로 다른 기억_ 정진아 62 3. 한·중·일의 공동 역사 기억과 8.15_ 박민철 85 2부 문학을 통해 본 8.15의 풍경과 기억들 4. 8.15 전후 새로운 빛과 남겨진 그림자 - 이태준의 단편소설_ 박재인 108 5. 해방의 두 얼굴, 환희와 공포 - 중국 동북 지역 조선인 문학_ 전은주 132 6. 적지에서 부르는 해방 찬가 - 재일조선인 문학_ 전영선 153 3부 해방과 함께 온 냉전, 살풍경의 현장들 7. 새로운 세상을 설계하다, 보성 회천면의 8.15_ 김종군 174 8. 해방 후 북한 사회의 불안과 공포, 그리고 희망_ 김종곤 195 9. 누가 반역자인가? 해방 직후 재일조선인의 좌우 대립_ 도지인 213 4부 2025년에 바라본 1945년 코리언의 해방과 분단 10. 레드 콤플렉스 때문에 막혀 있는 상상력이 넓어진다면 - 남과 북 청년의 대담 _ 조경일·김연우·강태성 234 11. 냉전적 인식과 혐오를 넘어서 서로를 만나는 것 - 재중조선족과 한국인의 대담 _박솔지·최연·안걸 268 12. 코리언의 미래를 위한 약속, 반차별주의와 페미니즘 - 재일조선인과 한국인의 대담 _이태준·김리화·김리이슬 306 나가며: 2025년 코리언‘들’에게 1945년 8월이란? 342 참고문헌 361 이 책의 집필진 367 |
---|
다음글 | 다음글이 없습니다. |
---|---|
이전글 | 북한의 활자문화사 1945-2023 |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