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송영 극작술의 변곡점과 관통선 - 천리마시대의 문학과 <박연암>의 징후적 독해 -
...마지막 작품인
lt;
박연암
gt;에도 이러한 특징이 드러난다고 가정하는 가운데,
lt;
박연암
gt;에 내재된 그의 문제의식과 대응 방식의 의미를 살펴보고자 했다. 즉, 그는 ‘천리마 시대의 문학’을 선언한 이래 점차 경직되어 가는 북한 문예 담론에 반감을 품고 있었으며, 자신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lt;
박연암
gt;을 창작했다는 것이다. 북한에서는 1950년대 중반부터 실학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되었으며, 이러한 경향을 주도한 것이 박지원 연구였음을 고려할 때,
lt;
박연암
gt;은 시류에 편승한 작품처럼 보이기도 한다. 그러나
lt;
박연암
gt;이 창작된 1960년대 초반에 실학 연구의 중심은 정약용 연구로 이동한 상태였다. 더욱이
lt;
박연암
gt;은 천리마 시대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