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기 북한의 전시교육과정 운영과 기술인력 양성
...학교를 복구하는 데 전 인민을 동원하였다. 전쟁기의 학교 복구는 해방 직후 대중의 힘으로 추진된 학교 증설운동의 연장이자 1956년 실시된 초등의무교육제의 물질적 토대였다는 점에서, 전전과 전후를 잇는 징검다리라고 할수 있다. 한국전쟁기 북한교육의 최대 목표는 기술교육 확대를 통한 기술자 양성이었다. 보통교육과 고등교육, 유자녀학원·영예군인학교로 대표되는 특수교육을 막론하고 전쟁 중 모든 교육의 초점은 기술인력 육성·확대에 맞춰져 있었다. 이과정에서 현재 북한교육의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인 ‘
교육과
생산노동의
결합’의초기적 형태가 나타났다. 한국전쟁기 교육이 기술에 방점을 두는 방향으로 주조된 것은 1950년대 후반 기술의무교육제 추진의 결정적인 배경이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