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쟁의 정치적 변용 - 50~60년대 ‘항미원조’ 전쟁영화를 중심으로 -
...‘강한 중국’의 이미지를 개발함으로써 좌초에 부딪힌 경제개발계획의 출로를 모색하고 중화인민공화국의 재도약을 타진했다. <영웅의 아들딸>(1964)에서는 문혁 전야, 홍위병 세대의 예비교육용으로 혁명역사의 계보를 완성하여 정치적 분열을 무마하고 국민대통합을 시도했다. 요컨대 17년 시기 중국영화는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소재를 중국식으로 전유하여 신생국가의 기틀을 마련하고, 더 나아가 세계 최강대국으로의 도약을 준비하며, 이를 위해 신세대에게 사상교육을 전개했다. 일면 견고해 보이는 전쟁의 기억은 실상 위태롭고도 불완전한 구성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쟁의 기억은 일반대중의 의식 가운데 강력한 효과를 생산해낸다. 본고에서는 국가 주도의 냉전문화, 그 이면의 정치적 기제에 초점을 맞추어...
[학술논문] 북한의 위생방역제도 구축과 ‘인민’의식의 형성(1945∼1950)
...상설화하고, 위생방역체계를 중앙단위에서 지역 기층단위까지 유기적으로 조직해나갔다. 아울러 북한당국은 식민지 보건행정에 대한 재편과 전통적 위생관 개혁을 통해, 대중이 위생방역사업에 동참하도록 이끌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 당국은 식민유제의 정리, 보건위생행정의 독립과 행정계통의 이원화, 공안행정의 일제잔재척결운동 등으로 식민행정과 구분할 수 있는 새로운 국가로서의 차별적 이미지를 구축했다. 또한 위생선전활동을 통해 미신퇴치운동을 전개하고 ‘근대적’ 위생관을 교육했다. 이를 통해 지도부는 대중이 자신의 위생을 책임질 수 있는 주체일 뿐만 아니라, 방역활동과 국가건설의 주체로 위치 지우고자 했다. 이는 우호적 소련관을 통한 사회주의 지향의 ‘인민’ 의식 창출과정이기도 했다.
[학술논문] 북한의 지방행정체제와 통일 후 지방자치제의 정착방안에 관한 試論
... 동, 노동자구가 있으며, 도, 시, 구역, 군에는 북한의 지방행정기관인 지방인민회의와 지방인민위원회를 두고 있다. 지방인민회의는 우리의 지방의회와, 지방인민위원회는 우리의 지방자치단체의 장과 그 위상이 비슷하다. 그러나 각각의 수행 역할을 비교해 볼 때 근본적인 차이가 있음은 물론이다. 북한의 노동당은 지방에도 노동당 지방 조직을 두고 있는데, 지방인민회의와 지방인민위원회는 노동당의 지방조직의 영향으로 인하여 지방행정기관으로서의 의사결정과 집행 등 자치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고 단순히 노동당의 결정을 승인하고 수행하는 형식적인 기관에 불과하다. 북한은 해방 이후 남한의 지방행정구역수가 북한보다 더 많은 것을 의식하여 양강도와 자강도를 새롭게 신설하였다. 오늘날 남한과 북한이 사용하고 있는 지방행정구역의 명칭과...
[학술논문] 북한 형사소송법상 증거법의 내용과 특징
...제2항), 자백배제법칙(제37조 제1항), 자백보강법칙(동조 제2항), 증거평가에 있어서 자유심증주의(제36조) 등을 선언하고 있다. 또한 증거의 수집․압수, 증거의 등록 및 고착, 조서의 작성, 증거물의 보관, 증거의 검토 및 평가, 압수․수색시의 참여자 규정, 증거물의 이관 및 처리 등에 관한 규정들이 대한민국 형사소송법에 비해 형식적 완결성 면에서 크게 뒤지지 않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제33조는 증거의 수집에 있어서 각성된 군중들의 힘과 지혜에 튼튼히 의거하여야 한다고 함으로써 대한민국의 형사소송법에서는 찾아 볼 수 없는 북한‘인민’공화국 형사소송법의 특징을 드러내고 있기도 하다. 그러나 내용을 더 들여다보면 실질적인 면에서 북한 형사소송법 증거편은 법치국가 형사소송법의...
[학위논문] 北韓體制의 儒敎的 特性에 관한 硏究
...윤리의 부작용도 함께 드러내었다.
본 논문의 구성은 먼저 Ⅰ장 머리말에 이어, Ⅱ장에서는 ‘북한의 유교에 대한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고 북한의 유교사상 수용배경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유교의 聖人觀과 성인이 지향하는 이상사회론, 그리고 북한의 首領制와 강성국가론백두산대국론에 대한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논하였다. Ⅳ장에서는 유교의 宗法制와 忠孝사상이 북한의 권력세습 논리에 어떻게 접목되는지를 다루었다. Ⅴ장은 유교 통치이념의 근본인 民本사상과 그 구현 방식인 도덕정치의 내용을 정리하고, 이것이 북한이 주장하는 인덕정치인민대중제일주의와 어떠한 상관성이 있는지를 밝혔다. Ⅵ장은 유교의 禮樂사상과 북한의 음악정치와의 비교이다. 먼저 유교에서 禮와 樂의 기원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