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권력세습과 유교의 성군(聖君)신화
21세기 중국이 시진핑의 ‘중국몽’의 기치 아래 유교를 기반으로 하는 ‘신중화주의’를 표방하고 있다면 북한은 북한식 사회주의 모델을 위해 유교를 어떻게 활용하고 있을까? 이 논문은 북한식 사회주의 체제를 위해 ‘유교’가 어떠한 역할을 하고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성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북한의 체제 안에서 유교는 봉건종교이지만 유교의 도덕적 가치들(충과 효)는 계승되어야 할 ‘전통적 윤리’로서 활용되었다. 동아시아에서 ‘충’· ‘효’의 규율은 정치권력에 의해 오랫동안 동아시아인들에게 내면화 되어 있었고, 북한이 이를 사회주의 체제 유지를 위해...
[학술논문] 중국의 3전과 한국의 대응 방향
...3전의 수단과 방법은 4차산업시대를 맞이하여 더욱 고도로 지능화될 것이며, 중국은 이러한 연성무기를 ‘중국몽’을 실현하기 위해서 더욱 적극 활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3전은 한국에 사드배치문제에 이어서 현재 이어도 영유권 및 방공식별권과 관련하여 실제로 적용되고 있으며, 향후 북핵문제 해결과정과 남북 관계 및 통일문제 해결과정에 개입하여 한국사회를 친중화-탈‧반미화 시키려 할 것이다. 이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1) 중국 3전의 정의와 개념, 그리고 군사사상 및 전략차원의 위상을 살펴 본 후, (2) 최근 중국이 3전을 이해 관련 국가들에게 적용한 성과를 친 중국화-탈‧반미화 관점에서 분석 평가하고, (3)중국 3전에 대한 향후 한국의 대응전략을 북한정권의 민족기획정치심리전 양상도...
[학위논문] 김정은 시기의 핵전략 변화 연구 -대외환경과 김정은의 선택-
...쇠퇴하고 중국의 국력은 부상하면서 미·중 간 우호적 관계가 경쟁과 갈등이라는 적대적 관계로 전환되었다. 미국은 중국의 부상을 견제하기 위하여 2011년 이라크에서 철군과 동시에 ‘아시아 회귀(Pivot to Asia)’라는 ‘재균형(re-balancing)’ 전략을 추진하였다. 중국은 ‘중국몽’을 달성하기 위해서 ‘신형대국관계’와 ‘일대일로’ 전략을 추진하였다. 트럼프 행정부는 ‘힘을 통한 평화’ 기조를 내세웠고, 2017년 미국의 NSS 보고서에서 중국을 인도·태평양 지역에서 미국을 몰아내고 국가주도형 경제모델을 확대하여 자신에게 유리한 지역 질서를 재편하려는...
#신고전적 현실주의 #미·중 관계 #북·미 관계 #재균형 전략 #중국몽 #확증보복 핵전략 #통합억제 #국제연대 #신냉전 #외적균형 #이중억제 핵전략 #Neoclassical realism #US-China relations #North Korea-US relations #rebalancing strategy #Chinese dream #assured retaliation nuclear strategy #integrated deterrence #international solidarity #new cold war #external balancing #dual deterrence nuclear strategy #소현철
[학술논문] 남북통일과 중국의 영토 문제의 충돌: 중화민족 만들기와 역사 왜곡
이 논문은 남북통일과 중국의 영토문제를 다루었다. 특히 중국의 영토 근본주의, 중화민족이라는 정체성 만들기, 역사왜곡을 중심으로 에드워드 기번(Edward Gibbon)은 1776년 「로마제국 쇠망사」에서 이렇게 말했다. “로마의 쇠퇴는 무절제했던 위대함이 피할 수 없는 자연스러운 결과이다. 번영은 무르익으면 쇠락하는 게 원칙이며, 정복한 범위가 넓을수록 몰락할 원인은 배가 된다. 시간 혹은 우연이 부자연스러운 지지를 거두는 순간 거대한 조직체는 자신의 무게에 굴복하고 만다”. 넓은 국토는 축복이다. 하지만 관리의 측면에서는 그렇지 못할 때가 있다. 현재의 중국이 처한 위기이다. 미국을 보자. 수많은 민족이 모여 미국인을 형성한다. 하지만 미국민족을 형성할 수는 없다. 미국은 다민족국가이지만
[학술논문] 시진핑의 중국몽과 정체성 정치: 일대일로; AIIB 그리고 패권정체성
시진핑 주석은 2013년 집권 1기부터 근래 제 19차 중국 공산당 전국대표대회까지 지속적으로 ‘중국몽’을 언급하고 있다. 시 주석의 ‘중국몽’은 국제정치적으로 어떠한 함의를 가지는가? 본 연구는 구성주의의 정체성 논의를 바탕으로 시 주석이 밝히고 있는 ‘중국몽’의 의미를 국제정치적 차원에서 재해석 한다. 시 주석이 내세운 ‘중국몽’의 요체는 미국과의 수평적 관계 형성 그리고 중국식 강대국 외교로 이를 통한 국제 사회에서 중국의 제 위치 찾기이다. 또한 이는 중국이 역내 경제 패권국으로 발돋움하기 위한 패권국가로서 역할과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일련의 정치적 작업이다. 중국은 이를 구현하기 위한 전략으로 ‘일대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