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타민족을 가둔 곳이 아니라 같은 언어와 같은 핏줄의 동족을 서로 감시하고 억압하는 수용소였다. 그래서 모멸은 더 깊었다. 어릴 적 소꿉친구가 보위원이 되어 죄수 앞에 서고, 장본인이 죽어야 연좌제로 함께 끌려온 가족이 풀려나는 제도 속에서 친족의 살인까지 벌어진다. 자기 언어가 무기가 되고, 자기 피가 족쇄가 되는 곳. 그 역설적인 상황이 이 책의 심장을 이룬다.
그럼에도 『캠프 15』는 단순히 어두운 기록이 아니다. 16살 소년 도성진의 눈으로 본 수용소는 공포와 절망 속에서도 해학과 인간성이 꺼지지 않는 무대다. 죄수들은 웃음으로 버텼고, 농담으로 공포를 비틀었다. 이 책은 공포와 눈물을 짜내는 고발문학이 아니다. 절망 속에서도 피어나는 인간의 유머와 연대, 사랑과 우정을 더 감명 깊게 보여준다.
[사회/문화]
...타민족을 가둔 곳이 아니라 같은 언어와 같은 핏줄의 동족을 서로 감시하고 억압하는 수용소였다. 그래서 모멸은 더 깊었다. 어릴 적 소꿉친구가 보위원이 되어 죄수 앞에 서고, 장본인이 죽어야 연좌제로 함께 끌려온 가족이 풀려나는 제도 속에서 친족의 살인까지 벌어진다. 자기 언어가 무기가 되고, 자기 피가 족쇄가 되는 곳. 그 역설적인 상황이 이 책의 심장을 이룬다.
그럼에도 『캠프 15』는 단순히 어두운 기록이 아니다. 16살 소년 도성진의 눈으로 본 수용소는 공포와 절망 속에서도 해학과 인간성이 꺼지지 않는 무대다. 죄수들은 웃음으로 버텼고, 농담으로 공포를 비틀었다. 이 책은 공포와 눈물을 짜내는 고발문학이 아니다. 절망 속에서도 피어나는 인간의 유머와 연대, 사랑과 우정을 더 감명 깊게 보여준다.
[학술논문] 유항림 소설의 ‘연애모티프’와 상징성 고찰
...남녀관계에 대한 열정으로 귀결되는 구조가 갖는 상징성과 문제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것을 포함하여 그의 작품 「마권」과 「구구」, 그리고 「부호」와 「농담」의 작품 세계를 분석하는 과정에서 몇 가지 측면은 대별되고 있는 점에도 주목하였다. 작품마다 각기 다른 특성을 지니지만, 후자는 전자에 비해 약간의 공백기를 거친 뒤 발표했다는 단순히 창작 시기의 전후 관계 외에도 인물의 내면에 현실에 안주하거나 순응적인 지식인으로서 전락하지 않으려는 열렬한 도덕의식으로 무장되어 있는 점은 주목할 만하다. 담화의 구성방식에 있어서도 「부호」와 「농담」은 소설의 주인공을 인물소설가(character as novelist)로 등장시켜 해석적 수준에서 역사(현실)을 평가하고 이에 비추어 자신을 평가하도록 주체적 시도를...
[학술논문] 트럼프 2기와 한·미·일 3국 협력
몇 달 전만 해도 미국, 한국, 일본은 함께 힘을 합쳐 같은 곳으로 나아가고 있었다. 지난 32년간 연구 기간을 통틀어 볼 때도 이처럼 굳건한 3국 관계는 찾아보기 힘들 정도였다. 나는 사석에서 앞으로 괴로움에 술을 많이 마실 날이 올 수 있으니까 오늘은 축하주라도 많이 마셔야 한다는 농담을 자주했다. 괴로운 날이 이렇게 빨리 올지 예상조차 하지 못했다. 2024년 9월까지만해도 트럼프가 재선될 경우 미국 정책이 어떻게 바뀔지가 가장 큰 걱정거리였다. 그 시기 한일 양국 정부는 자신들이 추진하는 정책 방향성이 올바르다는 확신 속에 강력한 동맹 관계를 이어가고 있었다. 한일 양국 정부는 미국이 동맹국과 공식 조약 이행, 약속된 주둔 병력 유지, 전방 배치된 미군을 통한 동맹국 보호 등 구체적인 책임을 제대로 이행하지...
[학술논문] 북한의 현대 목판화에 관한 연구 -수인목판화를 중심으로-
...체제선전, 전통풍속, 자연풍경의 세 가지 주제로 나누어 분석했다. 우선, 북한 수인목판화는 여성 이미지와 자연풍경을 통한 체제선전과 인민의 정신함양을 도모하는 점에서 중국 수인목판화와 유사한 측면이 발견된다. 특히 북한 수인목판화와 중국 수인목판화가 각각 조선화와 중국화의 미감을 반영하기 때문에 수묵의 농담과 담채의 처리는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특징이다. 한편, 전통 민속놀이를 즐기는 북한 민중들의 생활상을 묘사한 작품들은 북한 당국의 민족체육 정책과 관련이 있는데, 수묵과 색조의 농담보다는 먹선으로 윤곽을 잡고 수성안료로 색을 표현한 북한 초기 배운성의 수인목판화 특징이 엿보인다. 북한의 수인목판화는 북한 사회주의 건설에 기여하는 대표적 시각예술로, 민족주의와 애국심을 고취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해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