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근영의 『청천강』 연구-월북이전 소설과의 유사성에 유의하여
...이르는 작가의 집중적인 농민소설 창작 시기의 중핵을 이루는 작품으로써 의의가 있다. 14개의 장으로 나뉘어 서술된 텍스트의 내용을 살펴보면 농민의 단결 및 저항을 당과 조직이 선도한다는 점, 김일성의 보천보 전투 소식이 그 과정에서 중요한 동기로 작용한다는 점 등에서 북한 소설로서의 당대성을 드러낸다. 한편 전통적인 농민형상과 세시풍속이 함께 어우러진 농촌의 묘사 등이 지속되고 있는 점, 「
당산제」(1939)의 인물 구도와 갈등 구조가 차용 및 변주되고 있는 점 등은 월북 이전 소설세계와의 공통점으로 거론할 수 있다. 덧붙여 긍정적이고 양심적인 교육자의 형상이 특정 삽화에 개입되어 묘사되고 있는 점 또한 「소년」(1942) 등의 작품으로부터 이어져 내려오는 이근영 소설세계 내의 지속성으로 특기할 만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