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탈북기의 ‘미국화’ 장치들
...‘유령작가’이다. 유령작가는 탈북자 증언의 내용을 서구 독자에게 ‘읽힐 수 있는’ 텍스트로 생산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읽힐 수 있는’ 텍스트란 단지 언어적번역만이 아니라, 서구 독자에게 익숙한 문화적·이데올로기적 번안까지 이루어진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신)냉전 세계 지도의 재생산이다.
탈
북
기는 증언자의이동 경로에 따라 ‘북한 → 중국( → 몽골) → 남한 → 미국’으로 이동하는데, 이때 각나라의 재현은 냉전 체제를 (재)생산한다. 북한은 ‘권력 과잉’의 전체주의 국가로, 중국은 치안 권력이 작동하지 않는 ‘자연 상태’로 그려진다. 이들의 반대편에놓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