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정권 수립기의 검열 문제에 대하여 -'『응향』 사건'을 중심으로-
...「여명도」가 『
응향』에 실렸던 것과는 달리 수정, 개작된 것일 가능성을 함께 시사한다. 『
응향』 사건 북한문학이 지향해야 할 가치가 무엇인가를 다시 확인하는 동시에 금지되어야 할 것이 무엇인가를 구체적으로 드러낸 사건이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이 시집에 실린 시들의 언어와 표현형식에 대한 날선 비판은 이후 북한문학(시)의 발전 방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인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평이한 산문적 진술로 이루어진 시, 그리고 일체 오독의 가능성이 없는 시가 그 방향의 내용이다. 그리고 창작과정에서의 자기검열, 그리고 실질적인 검열 기구 역할을 담당한 합평회와 출판 전의 윤독(輪讀) 등을 거치면서 북한 시는 점차 당이 요구하는 내용과 표현형식에 부합하는 길을 걷게 되었다. 그런 의미에서 『
응향』은 문학(시)에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