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교육 제재로서 북한 과학환상소설 역할 연구 -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 수록본을 중심으로 -
...인간 양성을 위한 교양교육에 있으며 이를 위해 당이 발간하는 문예지를 이용한다. 북한의 대표적인 문예지는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이며 이들 문예지에 수록된 작품은 북한주민을 대상으로 하는 교양교육의 제재로 사용된다. 문예지에 수록된 다양한 장르 중 본고는 『과학환상소설』에 주목했다. 최근 북한은 당 정책을 통해 『과학환상소설』 의 창작을 독려하고 『과학환상소설』의 문예지 수록 비중을 늘리고 있는데 『과학환상소설』을 둘러싼 이러한 경향의 이유 및 과학환상소설이 가지는 사회교육적 기능을 살피기 위해 북한의 3대 문예지인 『조선문학』, 『청년문학』, 『아동문학』 에 수록된 ‘과학환상소설’을 검토하였다. 이를 통해 문예지에 수록된 ‘과학환상소설’의 작가,...
[학술논문] 韓雪野의 아동문학 연구 - 『금강선녀』를 中心으로 -
본고에서는 『금강仙女』가 바탕으로 삼고 있는 전통 說話 「나무꾼과 仙女」와의 차이점을 실증적으로 살펴본 후, 韓雪野의 다른 兒童小說인 「이상한 그림」이나 『형제』, 『성장』, 『버섯』과의 比較 檢討를 통하여 『금강선녀』의 文學史的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한설야 아동문학의 전반적인 성격을 규명하는 실마리가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韓雪野는 『금강선녀』에서 이상적인 ‘우리’를 창조하기 위해 적대적인 타자를 설정하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은 등단 초기에 쓰였던 「이상한 그림」에서도 이미 나타난 바 있다. 『금강선녀』에서는 국토의 심미화를 통하여 ‘우리’의 자긍심을 고취시키고 있다. 마지막으로 『금강선녀』에는 최종적인 가치규범의 담지자이자 행위의 최종
[학술논문] 북한 『아동문학』에 수록된 ‘가사’ 연구
...북한에서의 ‘가사’는 단순한 가요음악의 종속물이 아니라 곡이 없어도 하나의 시가 될 수 있을 정도로 사상적ㆍ예술적 완성도를 지향한다. 아동문학 장르에서도 어린이를 위한 노랫말이라고 할 수 있는 ‘동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사’는 별도로 창작되어 『아동문학』을 통해 꾸준히 발표되고 있었다. 두 장르의 공존현상은 가능한 다양한 종류와 형태의 창작을 권장하는 당 차원의 요구로 해석할 수도 있으나 항일혁명문예의 전통을 가지고 있는 가요의 정통성을 지키기 위한 방편의 하나로도 해석된다. 『아동문학』에 수록된 가사는 일반 성인 가사와는 달리 내용과 형상화 방식에 있어서도 아동의 생활과 정서를 반영하고 있다. 따라서 아동용 ‘가사’는...
[학술논문] 백석의 동화시와 마르샤크의 동화시 비교 연구
백석이 번역한 쓰.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은 여러 연구자들에게 언급되었으나 그 실물을 확인할 수가 없었다. 그러나 최근에 백석의 번역 텍스트들이 속속 발견되면서 마르샤크의 『동화시집』도 발견되었다. 본고에서는 백석의 『집게네 네 형제』와 쓰.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을 비교 분석하였다. 백석은 아동문학 논쟁에서 자신의 동시를 옹호하기 위해 마르샤크를 언급했으며, 마르샤크 탄생 70주년을 맞이하여 그의 생애와 그의 문학에 대해 소개하기도 했다. 그리고 마르샤크의 『동화시집』이 백석의 동화시집이 나오기 2년 전에 출간되었던 점에서 백석의 동화시 창작에 직접적인 동기가 되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기 때문에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마르샤크의 『동화시집』과 백석의 동화시를 비교 연구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이 글은...
[학술논문] 북한 문학교육의 사회교육적 양상에 관한 연구 -『청년문학』을 중심으로 -
...필요한 공산주의 인간형을 양성하는 데에 있다. 이러한 교육목표를 이루기 위한 핵심도구로서의 기능을 수행해 온 것이 바로 문학이다. 이를 위해 북한은 학교교육 차원뿐만 아니라 사회교육 차원에서도 문학의 힘을 활용하고자 하는데, 그 대표적인 교육매체 중 하나가 문학잡지이다. 북한의 잡지는 모두 당에서 출간되는데, 문학교육과 관련된 잡지로는 『조선문학』, 『아동문학』, 『청년문학』 등이 있다. 이 중 『청년문학』은 주 독자층을 14∼30세의 청년으로 한정하며 전문 작가만이 아니라 일반 청소년들의 작품도 수록하며, 이에 대한 전문작가의 평론까지 게시하고 있어 문학교육 측면에서 주목을 끈다. 본고에서는 2012년 1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발간된 월간 『청년문학』에 수록된 문학작품을 장르별, 주제별로 검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