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시대별, 유형별 분석을 시도했다.
2장에서는 전체주의 이론과 북한 사회통제 구조를 살펴본다. 북한이 여타 사회주의 국가들과는 다른 점이 있지만 전체주의 체제의 보편적 특성을 지니고 있고, 체제 유지를 위해 경찰 등 물리적 기구를 통해 사회통제를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3장에서는 사회안전성의 연혁과 조직체계, 역할을 다룬다. 초기 사회안전성이 토지개혁, 농업협동화, 국유재산화, 성분제도 등 정권의 중요정책을 관철시키는 역할을 하였음을 밝힌다. 이어, 사회안전성의 역할과 업무, 방향을 제시하는 ‘인민보안법’과 ‘인민보안단속법’ 등 기본 법제를 검토한다. 4장에서는 김일성과 김정일 시기 사회안전성의 주민통제 특징과 역할을 분석한다. 김일성 시기 사회안전성 주민통제의...
[경제/과학]
독일통일 총서24
농업 분야 통합 관련 정책문서
도서 PDF 받기: 독일통일총서 24 - 농업 분야
[학술논문] 국가권력의 폭력성에 포획당한 윤리적 주체의 횡단-황순원의 『카인의 후예』론-
이 글의 목적은 황순원의 『카인의 후예』에 나타난 윤리적 주체성의 문제를 국가권력의 폭력성과 구원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1946년 3월에 벌어진 북한의 토지개혁이라는 사건을 배경으로 쓴 『카인의 후예』는 국가권력이 폭력적으로 사회를 재편할 때 벌어지는 사건을 보여준다. 국가권력은 국민을 둘로, 즉 충직한 시민과 불충한 시민으로 가르면서 정체성을 확립한다. 북한의 경우 지주와 소작인으로 이를 나누었고, 지주를 착취자로 규정하면서 그들을 배제하였다. 『카인의 후예』의 주인공 박훈은 지주이자 면농민위원장 살해의 배후세력으로 지목되어 위기를 맞는다. 박훈의 마름이었던 도섭영감은 농민위원장이 되면서 박훈과의 관계를 끊어야 한다는 면인민위원회의 지시를 듣는다. 국가권력에 의해 잠재적 죄인으로 지목된
[학술논문] 北韓 土地制度의 變化와 文學的 形象化의 變轉 -土地改革에서 農業協同化로의 제도적 變移와 그에 대한 文學的 再現 樣相을 中心으로-
本稿는 李箕永의『땅』과 千世鳳의 『석개울의 새봄』을 基本 텍스트로 삼아, 土地改革과 農業協同化 政策의 小說的 再現 樣相을 비교 검토하고자 한다. 『땅』은 1946년에 단행된 土地改革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면서, 토지의 私的 所有權에 대한 긍정적 시각을 노출하고 있다. 반면 『석개울의 새봄』은 1953년에 단행된 農業協同化 정책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면서, 토지의 공유화를 指向하고 있다. 대다수의 小作人들에게 사적 소유권을 인정해주었던 土地改革의 단행 시기와 그 사적 소유권을 철회했던 農業協同化 조치의 시행 시기는 불과 10년도 채 되지 않는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두 작품은 土地改革에서 農業協同化로 이어지는 제도적 변화를 농민들이 感覺的으로 受容할 수 있게끔 하는 데 기여하였다. 本稿는 두 作品을 통해 北韓의 土地所有權...
[학술논문] 해방이후(1945~1950) 북한 경제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유형”이라고 자기규정 했던 문제의식은 현 시기 남한에서도 성찰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을 가지고 본 논문은 해방이후 북한경제사에 관한 기존의 연구를 주제별로 검토하였다. 우선 1장에서는 식민지 경제유산이 잔존했던 경제적 현실과 그것을 타개하고자 했던 각 정치세력들의 경제구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1946년에 시행되었던 토지개혁, 노동법령, 중요산업국유화, 중소상공업자들의 활동 보장 등 일련의 ‘민주개혁’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토지개혁은 이 시기 단일주제로 가장 많은 연구가 되어 있는 분야로서 주도 주체, 소유 형태, 현물세 평가, 역사적 의의 등에 대해 연구자들 간 의견이 엇갈린다. 나머지 민주개혁에 대해서는 국가와 노동자의 관계, 국유화의 성격과 그로...
[학술논문] 조선문학가동맹의 『토지』 연구 - 좌우익 갈등기, 문학적 대응 양상을 중심으로 -
...정치적 상황의 변화, 당면한 쟁점이자 과제인 토지개혁 문제, 악화된 상황 타개를 위한 활동 방안으로서 제기된 대중화론 등 여러 사정과 필요에 따라 뒤늦게 일 특수위원회(一 特殊委員會)로 긴급히 구성되었던 것이다. 『토지』의 편집진이 밝힌 편집의 기준은 ①작가의 특성 ②작품의 영원성 ③오늘날의 시급한 요청 등 세 가지이다. 작가의 특성이 일련의 조건에 의거한 작가의 안배를, 작품의 영원성이 그 완성도를 말한다면, 오늘날의 시급한 요청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토지』의 간행사에는 “책”과 “땅”이 반복적으로 강조된다. 이때 책이 문화적 향유 및 생산의 주체로서의 대중을 가리킨다면 땅은 농경지, 보다 직접적으로는 토지개혁 문제를 가리킨다 하겠다. 이는 “토지...
[학술논문] 한국전쟁 전후 북한사회계층의 변화 연구(1945-1961)
이 논문은 해방 이후 북한의 사회계층구조가 한국전쟁을 전후하여 어떻게 변화하였는지 분석하였다. 해방 이후 북한에서 단행된 ‘민주개혁’ 조치는 지주와 친일세력을 약화시키고 소작농이 자영농으로 전환되는 사회계층의 1차 변환을 가져왔다. 이러한 사회계층의 재구성은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충격을 통해 2차 변환을 겪게 되었다. 한국전쟁은 피점령의 경험을 통해 구성원을 적(敵)과 아(我)로 구분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결국 한국전쟁 이후 북한의 계층구조는 기존의 계급 중심에서 전쟁 당시 구성원의 행태를 중심으로 재구성되었다. 한국전쟁의 결과로 재편된 사회계층구조는 휴전의 성립과 함께 전시체제의 성격이 지속됨에 따라 북한사회를 규정하는 주요한 특징으로 정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