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한지역 高麗時代 城郭 築城과 年號銘 기와의 聯關性
...정책이 성종 때까지 이어졌음을 확인하였다. ‘大平八年’·‘大平十五’銘 기와를 통해 고려 현종 때 내륙에서 출토된 연호명 기와와 창고건물지가 확인된 성곽들은 조세를 거둬들여 보관하는 기능과 역로망을 감독하는 관리 혹 창고를 지키기 위한 군사집단이 거주하였던 곳으로 볼 가능성과 남해 연안에 축성된 성곽은 漕運과 관련된 倉城이 존재했을 가능성에 대해서 견해를 제시하였다. ‘正豊二年銘 기와를 통해 고려 고종과 원종 년간에 왜구들에 대한 대비 혹은 몽골의 일본원정기지로의 개축되었을 개연성을 살펴보았다. ‘至正十八年’銘 기와를 통해 고려말 왜구가 강원도 지역을 침략하자 이에 대비책으로 고려 정부가 인제 한계산성을 활용하면서 인근의 사찰...
[학술논문] 재북 시기 조운 시조의 한 양상
Choun is representative writer of Yeonggwang regional literature. He was almost the only sijo poet in North Korea from 1949 when he defected to early 1960s. This study aims to find and to introduce last 6 works published in North Korea by Choun. Technique of expression is a common point of these 6 work. In conventional lyric poetry, author tells his own experiences but Choun’s 6 works are somewhat
[학술논문] 조운의 시 연구 - 발굴작품을 중심으로 -
조운은 시에서 시조로 시형을 바꾸어 창작하였고, 시조의 발달과 시조연구에 지평을 넓힌 시인으로 시사에서 중요한 지점에 있다. 이 글은 두 번에 걸쳐서 간행되었던 문학전집인 『조운문학전집』과 『조운시조집』에도 들어있지 않은 작품들을 발굴하여 공개하고 그 가치와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북한에서 쓴 시조 1편을 제외하고는 전성기 때의 작품으로 발굴한 작품은 창작시 1편과 시조 6편과 번역시 1편이다. 발굴한 시 「등잔ㅅ불」은 시조로 시형을 바꾸어 가는 과정에 있었던 작품으로 현대시와 시조의 시형이 발견되는 작품으로 가치가 있고, 연시조인 「춘수」, 「밤ㅅ새」과 단형시조인 「달」, 「해」은 조운이 전성기 때 쓴 시조로 시형에 대한 고민과 언어의 절제미가 돋보인다. 특히 연시조 「누이를 보내고」은 최서해의 가족사가...
[학술논문] 북한측 학자의 「농악」 인식과 논의 경과, 그리고 의의 분석 -「農樂에 關하여」와 「농악놀이」 두 가지 예증을 구실삼아-
...중요한 연희의 산물임을 알게 하는 글이다. 한 편의 글은 집단적인 담론의 성격을 지니고 있으며, 농악의 개념이나 역사적 경과, 농악의 지역적 분포를 중심으로 논의를 하였으며, 농악이 장차 어떠한 인민악의 전형이 되어야 하는지 진중하게 논의한 글이다. 조운이 주요한 발제자 노릇을 하였고, 나머지 학자들이 동참하여 견해를 덧보탠 점에서 주목할 만한 글이라고 할 수가 있다. 다른 한편의 글은 한국전쟁 뒤에 이루어진 것으로 『조선의 민속놀이』에 실린 것이며 이 역시 조운이 집체작의 대표자로 되어 있는 글이다. 두 편의 글은 농악이 인민악의 전형이 될 수 있으며, 개량을 하게 되면 인민들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악의 성격을 지닌 것이라고 내세우고 있다. 그러함에도 불구하고 농악놀이는 중요한 전형으로 획득되지 않았으며...
[학술논문] 북한 저온 지역의 기온과 일장 조건에서 벼 품종의 출수 반응
...같다. 1. 산파묘를 이앙재배하는 경우 안전출수 한계기가 나타나는 6지역에서 안전출수 한계기까지 출수한 품종은 지역에 따라 생육 기간이 매우 짧은 몇몇 품종으로 제한되거나 나타나지 않았으며, 남한 품종 중에서는 희천 환경에서 조운이 유일하였다. 2. 산파묘의 경우 안전출수 한계기 – 출수만한기 사이에 출수한 남한 품종은 기온이 상대적으로 높았던 함흥, 평강, 희천, 강계 환경에서 공통적으로 진부올, 백일미, 조운, 조품, 진옥, 조평, 산호미, 오대였으며, 신포 조건에서는조운, 기온이 낮았던 양덕, 김책, 청진, 선봉, 중강에서는나타나지 않았다. 3. 산파묘의 출수소요일수는 모든 10지역 환경에서 서로유의확률 1% 수준에서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포트묘의 출수소요일수는 산파묘에 비하여 전반적으로단축되었으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