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근대 초기 (1896~1907)’ 戶籍 자료의 현황과 가치 -북한 지역의 集團傳記學 토대 구축을 위한 호적 자료의 기초적 연구(Ⅰ)-
...호적(‘
舊式戶籍’)은 경상도와 제주도 지역에 편중되어 있고, 연구 또한 이들 지역에 치중될 수밖에 없었다. 그러다 보니 그동안 일부 남아있는 북한 지역의 호적 자료에 대한 정리도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고, 연구 또한 미진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현재 한국과 일본, 미국(하와이대) 등에 소장된 북한 지역의 조선 후기~근대 초기 호적 자료는 총 40책으로 파악되는데, 구식호적이 4책(17세기 후반~19세기 중엽에 작성), 신식호적이 36책(1896~1907년에 작성)이다. 지역(道)별로는 경기도가 2개 지역, 강원도가 4개 지역, 황해도가 6개 지역, 평안남도가 5개 지역, 평안북도 6개 지역, 함경남도가 3개 지역, 함경북도가 2개 지역 등, 총 28개(
구식호적 4개, 신식호적 25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