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黃鋼의 북한 소재 작품집 『리신자꾸우냥』 연구
본고는
黃鋼의 작품집 『리신자꾸우냥』을 연구 텍스트로 하여 1960년대 중국인에 의하여 구축된 북한의 이미지를 살펴보면서 현재 시점에서
黃鋼의 텍스트가 나타내는 의미를 논의하였다. 먼저, 희곡 작품 『붉은 선동원』에 대한
黃鋼의 평론은 북한의 문예 정책에 대한 독해로 전개되었다는 점을 분석하였다. 그 당시 중국 문학계에서는 중국의 마르크스주의 중국화 사조 속에서 마오쩌둥의 “옌안강화”를 문학 창작과 비평의 이론적 근거와 지도적 사상으로 확립하였다. 이런 배경하에
黃鋼은 북한의 문예 정책을 독해하고 로동당중앙의 언어체계하에 문학 창작을 하는 북한 작가들의 행위를 서술함으로써 현실과 정치적 투쟁을 위하여 문학 창작을 해야 한다는 이념을 얻게 되었다. 다음,
黃鋼의 보고문학 작품을 중심으로 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