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1960-70년대 북한의 군사적 모험주의 연구 : 위협인식과 전략적 선택
...불안정할 경우에는 일종의 위험감수전략으로서 군사적 모험주의를 선택했다. 1960년대 대외적 상황은 북한으로 하여금 대미 투쟁의식의 확대와 피포위 위협인식을 확산시켰다. 문화혁명으로 인한 북중동맹관계의 불안정성은 극도로 내재화 되었고, 비동맹 제3세계 국가와의 연계를 통한 제국주의 투쟁역량 강화, 자주외교노선 추진에 매달렸다. 국내정치 상황은 1967년
갑산파 사건과 이후 군부강경파가 대두되면서 북한내의 권력구조는 ‘군사적 모험주의’를 결단하기에 보다 용이한 여건이 조성되었다. 그 결과 김일성은 1960년대 말부터 DMZ일대 도발, 청와대 기습사건과 푸에블로호 납치사건, 울진/삼척 무장공비 침투사건과 같은 군사적 모험주의를 감행했다. 두 번째는 대외적 상황인식을 통해 이익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