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일어나면서 사회적 계층이 분화되고 있으며, 여성이 시장 활동의 주요 행위자로 등장하면서 가정 및 사회에서의 위상이 높아지고 있고, 부의 축적과 정치권력이 결탁하며 상호의존적 관계를 구축하고 있다는 점이다.
Ⅴ장에서는 사회주의국가의 체제 이행기 시장경제를 수용하는 체제 전환과정에서 발생한 주민들의 일상생활, 나아가 체제에 미친 영향을 선행모델로서 고찰한다. 특히 개혁개방 과정은 시장의 확산이라는 동력을 통해 거스를 수 없는 흐름으로 전개되었던 만큼, 이행기 시장을 무대로 주민들의 생활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지, 그리고 그러한 일상 세계에서의 변화가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 차원에서 체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본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시장과 일상생활에서의 변화가...
[사회/문화]
이 책은 북한의 민간시장인 장마당의 생성과 변천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90년대 중반부터 식량배급이 끊어지고 주민들이 굶어죽는 상황 속에서 장마당은 북한 주민들의 생존수단으로 활용되었고 전국적으로 확장되었다. 본 연구는 장마당의 활성화가 북한 경제에 미친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특별히 장마당의 개혁 개방적 역할로는 북한 주민들에게 1. 사유재산권 고취 2. 시장경제 인식과 선호 3. 계급타파 4. 외부정보 유입을 통한 주민의 의식 변화 그리고 5. 북한 내 통일역량 증가로 분류하였다. 본서의 연구는 장마당을 통해서 유입된 외부정보들은 북한주민들의 남한에 대한 이해를 증진시켰고 통일에 대한 염원을 증가시켰음을 설명하고 있다.
[학술논문]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변화와 민족문화축제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규모의 코리아타운인 중국 심양 서탑 코리아타운의 변화과정을 지역 민족언론(예,『요녕조선문보』 등)과 선행연구, 서탑지역의 다양한 이해당사자들과의 인터뷰자료를 기초로 작성되었다. 심양 서탑의 한인사회는 1910년경에 확립되었는데, 약 50여 한인가정이 살았다. 1922년에는 봉천(심양)의 서탑지역에는 401가정 1,902명의 한인들이 살면서 점차 정미소를 비롯한 다양한 상점들로 조선거리를 형성했다. 그러나 1945년 8월15일 해방 이후 많은 조선인들이 한국으로 돌아갔으며, 1948년 11월 심양이 공산당 정부에 의해 해방될 때 서탑의 조선인상점은 규모가 작은 31개 상점만이 남았다. 1980년대 중국의 개혁개방정책 이후, 서탑의 조선족거리는 새로운 발전을 모색했는데, 1992년 한중수교...
[학술논문] 중국 조선족 大衆歌謠 가사에 나타난 어머니像 연구: 중화인민공화국 건국이후를 중심으로
...‘어머니’에 대한 이미지 또는 상징성을 200만 중국 조선족들의 대중가요 가사에서 시대별로 분석한 것이다. 중국 조선족의 경우 다른 나라의 한민족과 달리 중국이라는 자기 국가관에서 자기 민족의 특성을 보존하고 있으며, 남과 북의 문화예술의 발전과정도 자유롭게 교류하고 인정하며 자기 것과 결부시켜 보존·발전시키는 특징을 갖고 있다. 1950년대부터 1970년대 후반까지는 중국 조선족의 음악예술은 한국보다 북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그 후 중국의 개혁개방과 함께 외국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되고, 1990년대 초반부터는 한국과 왕래가 빈번해지면서 조금씩 한국의 영향을 많이 받게 된다. 특히 한중수교 이후 많은 어머니들이 한국으로 돈벌이를 떠나면서 중국에 있는 조선족 사회 전반에 많은 영향들을 끼쳤고...
[학술논문] 탈냉전 시기 북한의 의존 네트워크 분석
...반(半)개방형으로 전환시키고 있다. 이러한 성격 전환은 북한의 지대추구(rent-seeking) 행위에서 잘 드러나는 바 이를 통해서 평양은 나름대로 외부세계와 소통하고있다. 이 글은 전면적 개혁개방 실천 이전의 단계에서 평양의 지대추구가 다소 긍정적인 의미를 지닌다고 파악하고 있다. 외부세계와 비교적 거리를 두고 있는 북한이 조기에 개혁과개방의 방향으로 나아가리라고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북한은 한동안 혁신과 기업가 정신에의존한 경제발전보다는 노동력, 지하자원, 전략적 요충지로서 위치에 의존하는 경제성장 모델에 주력할 가능성이 크다. 북한이 가교국가로서 지대를 통하여 동북아시아 네트워크의 허브 위상을 차지하는 과정은 북한이 탈(脫)의존과 정상국가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일정 기간긍정적 역할을 하리라고 기대된다.
[학술논문] ‘소설의 TV드라마화’에 반영된 북한 김정은 체제의 정치적 딜레마–원작소설 「딸의 고민」과 텔레비죤극 『표창』 서사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북한 사회 내부에 개인 발전을 통한 사회적 진출이 가능한 토대 형성과 이로 인한 인민들의 사적욕망 증가 현실을 예상하였다. 또한 속도전이 주는 안전 문제에 대한 인민의 체감 및 그에 따른 불안감 인식과 체제 불신의 문제 등이 현재 북한 사회에 존재하고 있음도 추측하였다. 결과적으로 TV드라마 『표창』을 통해 핵무기 보유와 선군정치로 인하여 제한적・부분적 개혁개방 정책을 지속할 수밖에 없는 김정은 체제의 정책이 최근 달라질 수밖에 없고 달라지고 있는 북한 사회의 인민 현실에서 그 효력을 점차 잃어가고 있음을 목도할 수 있었다. 물론 TV드라마 『표창』에 담겨진 그들의 ‘속도전의 한계’로 인한 ‘안전 문제’에 대한 인정이 만약에 성찰로 나아갈 수 있고 혹시 이것이 새로운...
[학술논문] 북한 핵문제 전개과정과 해결방안
...남북관계 개선을 추구했던 김대중-노무현 정부는 북한의 핵개발을 협상용 이라고 믿었고, 이명박-박근혜 정부는 금강산, 천안 함, 연평도 등 끊임없는 북한의 도발로 인해 협상의 분위기를 만들 수 없었다. 미중 전략적 관계에서 북핵문제를 접근했던 중국은 북한이 국제적 제재를 회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다. 이란 핵협상이 타결된 상황에서 국제사회는 북한 핵문제 해결에 관심을 집중해야 한다. 오바마 대통령의 전략적 인내는 북핵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북한의 핵보유는 동아시아 국제질 서에 불안정성을 높이게 될 것이며 핵도미노 현상을 야기할 수도 있다.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 제재와 압박, 정치·경제적 지원 및 보상, 그리고 북한체제를 개혁과 개방으로 유도하는 다양한 방안들을 모색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