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여성 건강자본의 경제적 의미 고찰
...해방 이후 사회주의국가 수립과 노동력 동원을 위해 여성의 노동을 수단화하였으나, 1990년대 경제난 이후 북한 여성은 생계를 유지하고 경제적 자립을 찾아가는 과정에서 시장을중심으로 새로운 경제활동 주체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는 북한 경제성장에 있어 고려해야 할대상이 된 여성에 주목하여 인적자본론 관점에서 기존 연구 검토와 실증분석을 통해 북한 여성
건강
자본의 경제적 가치를 입증하고 경제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1970-2019년동안 북한 여성 기대수명과 실질GDP와의 관계에서 여성 생산가능인구 비율의 매개효과 분석한 결과 기대수명 증가가 생산가능인구 비율과 실질GDP를 증가시키는 유의한 직접효과가 있었으나, 생산가능인구 비율 증가는 실질GDP를 직접적으로 증가시키거나 기대수명과 실질GDP 관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