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완경기 탈북 여성의 건강관리 실태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영어 및 의학용어 사용으로 인해 의료진과의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었고, 의료지원제도에 관한 정보의 부재와 신청의 복잡함을 토로하였다. 이러한 의료서비스 이용 장애 요인들로 인하여 의료정보 습득, 질병에 대한 예방과 조기 치료가 이뤄지지 못하고, 주로 미디어나 주변 지인을 통해 전달되는 건강 지식, 추천 건강식품 복용, 그 밖의 운동과 식습관과 같은 건강증진행위를 통해 건강관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앙정부와 지자체가 의료서비스 및 건강관리 체계를 개선하고, 의료비 지원 및 공공의료기관 또는 협력 병원의 확충과 같은 보건의료지원사업을 강화하고,
건강정보 및 의료 지원에 대해 전문가가 지속해서 안내하고 교육하고, 사회적 가교와 연계를 통한 사회적 자본을 활성화할 것을 정책으로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