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계몽기동요’ 선정기준과 남·북 개작 양상 비교
...동요;예술가곡;대중가요;신민요 등을 ‘
계몽기가요’로 통칭하며 1990년 중반 이후 이를 재평가하기 시작했다. 이는 지금까지 주체문예이론에 입각한 주체음악만이 참다운 음악이며 가치 있는 것으로 평가해 온 기존 북한의 시각과는 상당히 다른 태도이다. 오히려 그동안
계몽기
가요를 무조건적으로 금지했던 자신들의 태도를 편협한 것으로 지적하며;해방 전의 공백을
계몽기
가요로 메울 수 있게 되었다고 평가한다. 특히 북한은 해방 전 노래에 담긴 반일;애국;광복의 이념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당대의 시대상과 민족의 정서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혁명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민족 음악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
계몽기가요’ 중에서도 남녀노소 모두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