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계몽기동요’ 선정기준과 남·북 개작 양상 비교
...북한은 해방 전 노래에 담긴 반일;애국;광복의 이념에 주목한다. 이를 통해 당대의 시대상과 민족의 정서를 올바로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혁명성의 한계에도 불구하고 민족 음악 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계몽기가요’ 중에서도 남녀노소 모두에게 애창되었던 창작동요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북에서 선정한
계몽기
동요목록을 살펴보면 대개는 남한에서도 잘 알려진 동요들이지만 여전히 남과 북의 시각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특히 북에서 대표 동요로 꼽는 노래 중에는 남한에서는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월북 작사가와 작곡가의 노래가 포함된다. 또한 남한의 경우에는 월북 작가들의 노래가 금지곡이 되면서 이들의 노래를 개작하여 불러 왔다. 북한은 계몽기가요를 발굴 정리하는 과정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