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북한의 교수방법 연구 : 1960-2015
... 현지지도이다. 청산리 현지지도는 소련식
교수방법을 대체할 수 있는 모색의 출구가 되었다. 청산리 현지지도를 교육부문에 구현한 것이 약수중학교 교육경험이며; 이 경험에 제시된 ‘
계발식
교수’는 소련식
교수방법 극복의 대안이 되었다. 이후 1966년 후반으로 가면서 ‘
계발식
교수’는 ‘깨우쳐주는
교수방법’의 정립으로 위계적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이를 따르도록 강화시키는 자기 강화적 단계에 들어갔다. 1984년 북한 교육의 변화는 빠른 속도로 발전하였지만 현실 발전의 요구를 따라서지 못하는 것으로부터 출발한다. 북한에는 이전 시기에는 찾아볼 수 없었던 새로운 영재교육 체계가 등장하고 ‘실리주의’가 대두하였다.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