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고대국어 연구와 향가 연구의 연계성-류렬의 『조선말력사 1ㆍ2』와 『향가연구』를 중심으로-
본고에서는 북한에서 가장 최근에 이루어진 향가 연구서인 류렬(2005)의『향가연구』 가 어떠한 학술적 특징을 보이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향가를 창작시기에 따라 삼국시대ㆍ남북국시대ㆍ고려시대로 나누고 각 시대를 대표하는 향가인 서동요, 제망매가, 예경제불가를 선정한 후, 이에 대한 류렬(2005)의 해독이 남북의 대표적인향가 연구서인 양주동(1942)의 『고가연구』 , 홍기문(1956)의『향가해석』, 김완진(1980)의 『향가해독법연구』와 어떠한 점에서 차이를 보이는지 고찰하였다. 그 결과 류렬(2005)의 『향가연구』는 삼국시대의 향가, 남북국시대의 향가, 고려시대의 향가를 해독함에 있어 지금까지이루어진 북한의 조선어사 연구 성과를 반영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