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 고려 후기 금동불 연구 -중대형 금동불을 중심으로-
... 중기 遼(916~1125)에서 유입된 요소들이 고려화(高麗化)되어 나타난 것으로 볼 수 있다. 중국 산서성(山西省) 대동(大同, Dàtóng)의 하화엄사(下華嚴寺) 소조삼세불이나 미국 넬슨갤러리(Nelson Gallery of Art) 소장 금동아미타여래좌상의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북한지역
불상은 근본적으로 고려 중기 요의
불상요소를 고려적으로 변용한 것을 수 있다. 특히, 북한지역
불상은 이러한 요소를 더 강하게 반영하고 있는데 이는 전통적으로 북방지역과 인접한 지리적인 특성상 遼나
金(1115∼1234)으로부터 유입되는 문화적 영향이 강했을 뿐만 아니라
고려
후기에도 지속적으로 이러한 조각전통이 유지되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