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구려 고분벽화와 북방․유라시아미술 연구성과와 과제
고구려
고분
벽화는 북한과 중국에 나뉘어 분포하는 지정학적 특징, 20세기 초 일본의 초기 발굴과 모사 등 기록 작업으로 남아 있는 근대 자료로서의 확장성, 통일 전후로 북한과 공동으로 협력하여 발굴과 보존, 연구가 가능한 문화유산, 3~7세기 동아시아의 건축과 회화자료로서의 가치에 주목하는 서양학자들의 관심, 고대한국에서 북방․유라시아로 열려진 문화의 통로로서의 연구 가치 등으로 향후 다양한 연구의 방향이 모색된다. 최근 옥도리
벽화
고분, 호남리
벽화
고분, 천덕리
벽화
고분 등 고구려
벽화고분 자료가 추가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 북조 고분미술 분야 역시 석곽 선화, 묘실 벽화, 고분출토 유물 등 북방․유라시아적 요소를 드러내는 자료들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 고구려 벽화의 초기, 중기, 후기의 대표적인 북방․유라시아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