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기 북한문학 창작방법론의 역사적 기원 고찰 - 『문화전선』 제1~5집에 나타난 ‘고상한’의 수용과 정착 과정을 중심으로 -
...‘고상한 사실주의’의 수식어인 ‘고상한’의 활용형을 구체적이고 실증적으로 고찰하였다. 이 시기를 다룬 기존의 연구들이 ‘고상한 사실주의’를 하나의 확정된 담론으로 규정하면서 미시적인 고찰을 진행하지 않았기 때문에, 1946~47년의 양상을 『응향』 사건이나 ‘건국사상총동원운동’, 김일성의 1947년 신년사 등을 중심으로 북한문학의 도식화를 설명해왔다. 하지만 북한문학의 출발선상에서 제출된 기관지 『문화전선』의 번역문들을 중심으로 고찰해본 결과 1946년 이전에도 이미 북한 사회에서는 ‘고상한 사상과 예술’을 강조하는 소련문화의 수입과 활용에 대한 논의가 진척되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고상한 사실주의’로...
[학술논문] 해방의 선택과 소설의 선택 - 해방기 현경준 소설 「불사조」의 현실 인식
해방기 일본 잔재 청산과 민족국가 건설의 과제 해결을 위한 문학적 노력은 남과 북에서 각각 승리한 정치세력의 지도 아래로 봉합되어 버렸다. 해방 직후 북은 민주주의민족문학 건설을 위한 ‘민주기지론’을 주창하였고 1947년 2월에는 정식 인민위원회를 발족하고 같은 해 3월에는 문학 창작 방법론으로서 ‘고상한 리얼리즘’을 발표 한다. 영웅적이고 긍정적 인물을 본받아 배우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창작방법은 혁명적 낭만주의에 가까워서 북한 문학의 도식주의적 경향을 드러낸다. 현경준의 「불사조」는 해방 직후 일련의 북한의 문예정책을 따르고 있는 소설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설 속 영웅적 인물이 유치장 안의 다른 유치인들과 융합되면서 주체적 권력체로서의 ‘인민’으로...
[학술논문] 해방 전후 북한체제에서의 강소천 아동문학 연구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이라는 대주체의 호출에 단선적으로 응답 하지 않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북한 체제의 사회주의 담론이 그에게 주체로 자리 잡지 않았다는 것이다. 그는 해방이후 북한에서도 서정성을 바탕으로 타자의 담론을 편집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1947년 이후 북한 체제에서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아동문학위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대주체의 담론인 ‘고상한 사회주의’와는 일정한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 이것은 그가 1930년대 카프의 계급담론을 서정적으로 편집하여 감각적인 동시로 현실에 대응한 것과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이른바 북한의 ‘평화적민주건설시기’인 해방직후에 강소천의 문학적 사유를 구성하는 담론체계는 북조선문학예술총동맹의 담론을 복제한 것일 뿐 이었다....
[학술논문] 메노나이트교회의 평화주의 전통
...기술하였다. 또 16세기 이후메노나이트교회에 의한 평화주의 전통이 어떻게 계승되어 왔는가를 지적함으로 메노나이트교회의 평화주의 전통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특히메노나이트교회가 ‘제자도’로 고양해 왔던 비폭력(non-violence), 반전운동(anti war movement), 양심에 따른 병역거부(conscientious objection to Military Service), 화해(reconciliation), 앙갚지 않음(un-retaliation) 등과 같은 고상한 가치들은 남북한의 군사적 대결과 위협 하에 있는 오늘의 한국에 교훈과 자극을 주고 있음을 지적하고, 메노나이트교회의 평화주의는 근본적으로 ‘그리스도를 본받는’ 삶의 방식이라는 점을 지적하였다.
[학술논문] 강호(姜湖 1908~1984)의 문예비평
...강호는 ‘고상한 집체성’이라는 개념을 내세웠다. “자기완결적인 부분들의 순차적 결합”으로 요약되는 그의 ‘고상한 집체성’론은 전체의 구성에서 부분(개체)의 독립성, 자율성을 중시하는 견해로 주목할 필요가 있으나 1960년대 후반 북한문예가 몰입을 극대화하는 전체적 효과(내지 스펙터클)를 중시하는 쪽으로 기울게 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강호식 무대미술에서는 “생활이 흐르지 않고 토막토막 끊어진다”는 비판이 그것이다. 끝으로 강호는 무대미술의 민족적 특성을 문제 삼으면서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의 유기적 연결을 강조했다. 즉 그는 ‘고상한 집체성’ 개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