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강호(姜湖 1908~1984)의 문예비평
...강호는 ‘
고상한
집체성’이라는 개념을 내세웠다. “자기완결적인 부분들의 순차적 결합”으로 요약되는 그의 ‘
고상한
집체성’론은 전체의 구성에서 부분(개체)의 독립성, 자율성을 중시하는 견해로 주목할 필요가 있으나 1960년대 후반 북한문예가 몰입을 극대화하는 전체적 효과(내지 스펙터클)를 중시하는 쪽으로 기울게 되면서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강호식 무대미술에서는 “생활이 흐르지 않고 토막토막 끊어진다”는 비판이 그것이다. 끝으로 강호는 무대미술의 민족적 특성을 문제 삼으면서 ‘외적인 것’과 ‘내적인 것’의 유기적 연결을 강조했다. 즉 그는 ‘
고상한
집체성’ 개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