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SF의 유입과 장르 발전 양상 -구한말부터 1990년대까지의 남북한 SF에 대한 소사(小史)-
...결과 도입기에 근대화를 이룩하기 위해 실질적인 근대화의 모델이었던 서구화, 그 중에서도 동아시아권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받아들이려 했던 과학(科學)을 이식하기 위한 도구로 SF가 활용되었다는 것을 밝혔다. 이후 남한에서는 아동・청소년에게 역시 과학에 대한 정보를 학습시키기 위한 교보재로 정체성이 확립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공상과학소설(
空想科學小說)이라는 오역이 오래도록 유지되면서 형성된 스테레오 타입 때문에 명확한 비평을 거치지 못하고 문화예술의 변방에 위치하게 된다. 북한에서는 국가가 주도하여 장르에 대한 정립을 꾀하지만, 사회주의 리얼리즘이라는 경직된 방법론의 적용과 장르적 특성을 심도 있게 변용하지 못하는 아쉬움을 남기면서 결국 소재와 주제, 세계관과 구성방식에서 도식화된 작품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