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전쟁과 천주교 반공주의 : 역사적 변동과 비판적 성찰
...발생한 가장 중요한 변화는 ‘반공주의 종교화’ 과정의 전면화와 가속화였는데, 이는 전쟁에 대한 기억과 재현 방식에서 비교적 명확히 확인된다. 교리와 신념체계(해방 이전), 순교·성모신심운동(해방 후 전쟁 이전)에 그쳤던 반공주의의 종교화는 전쟁 후 교회조직(망명교구 설정, 교회분단 제도화 및 북한교회 소멸 공식화),
공식기억(교회사 편찬, 수난자 전기 편찬), 의례(침묵의 교회를 위한 기도의 날, 현충일 추도미사), 순교신심운동(한국전쟁 희생자들을 순교자로 규정하고 현양하는 활동), 선교(북한선교, 선교요원 양성, 북한교회 재건 준비) 등으로 최대한 확장되었다. 교회와 민족의 재일치·재통합 문제에 대한 한국교회 지도층의 접근방식 역시 대체로 분단체제의 공고화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