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과 통일’의 미학예술학적 과제
...이데올로기가 되다시피 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반도의 삶의 공동체를 짓누르는 남북 ‘분단과 통일’이라는 정치적 이슈는 다음과 같은 점에서 미학예술학적 과제와 교차된다. 첫째, 분단 현실 뒤집기에 다름 아닌 통일은 또 하나의 혁명 즉 새로운 창출이라는 점에서, 포이에시스의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미학예술학의 과제이다. 둘째, 둘 다
공통
감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예술 역시 통일이라는 분단 극복이라는 정치적 프로젝트와 실천적인 행위를 공유한다. 그렇지만 정치적 통일이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다. 정치적 통일이 혁명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곧 문화적이고 내적인 통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통독 이후의 그림논쟁(Bild-Streit)은 그 실상을 잘 보여준다. 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