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장마당세대의 학교 조직생활: 북한의 집단주의 및 개인주의 문화 변동
...특히 장마당세대 사이에서 약화되고 있 는 집단주의와 태동하는 개인주의의 본질은 무엇인가? 북한의 개인주의는 ‘스스로 생각하라’는 계몽주의 전통에서 출현한 ‘근대적 주체’의 개인주의인가? 소비에트 제도를 바탕으로 수립된 북한정권은 강력한 집단주의를 추구해왔다. 북한에서 정의하는 집단주의는(사회
과학원
철학연구소, 1970) 사회와 집단의 이익을 위해 자기의 모든 것을 다바치는 공산주의 사상과 도덕의 기본 원칙이다. 집단주의는 생산수단이 사회적 소유가 되고 개인의 이익과 사회의 이익이 일치하는 사회주의 제도에 기초한 것으로 집단주의 전통은 김일성 항일무장투쟁시기에 이루어졌으며 집단주의 최고 표현은 수령에 대한 끝없는 충실성이라고 말한다. 북한에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