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우편국장의 말을 ‘보이스 오버’로 되새기면서 자신을 반성한다.
제3장 북한 영화의 시선
: 〈우리 처가집 문제〉, 〈우리 누이집 문제〉, 〈우리는 모두 한 가정〉, 〈우리 삼촌집 문제〉에서 드러나는 인물들의 시선, 감시, 권력
시선은 감시와 권력을 표현한다. 영화 속 시선은 세 가지 종류, 즉 카메라의 시선, 캐릭터의 시선, 관객의 시선이 있다. 제3장은 세 가지 시선 중에서 북한 영화 속 캐릭터의 시선을 고찰한다. 이 장은 〈우리 처가집 문제〉, 〈우리 누이집 문제〉, 〈우리는 모두 한 가정〉, 〈우리 삼촌집 문제〉에서 드러나는 세 가지 시선, 즉 주변 인물들, 여주인공, 우체국장의 시선을 중심으로 시선의 다층성을 고찰한다.
[사회/문화]
...스타니슬랍스키를 연극의 선생으로 언급했지만, 그들이 지향하는 조선의 연극을 밝혀보았다.
고기선은 북한에서 ‘인간 심리분석에 능숙하여 인물들을 복잡하고 입체적으로 구현하는데 타의 추종을 불허한다’고 평가받는 연출가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기선은 연출은 숨어야 한다고 믿으며, 음악・음향과 같은 무대 요소가 전경화되어 관객과 소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안영일은 부교수이자 연출가로서 북한 연극의 토대를 세운 연출가이다. 그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의 계승자이면서 면밀한 희곡분석 작업을 가장 중시했다. 북한에서 세련되고 노숙한 연출로 인정받는 그의 사실주의적 연출법을 살펴본다.
김덕인은 북한에서 2세대 분류되는 러시아 유학파이며...
[사회/문화]
...남북한은 1947년과 1950년 6.25 전쟁을 기점으로 분단되었다. 정치적 분단은 예술계의 단절로 이어져 서로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점을 가져왔고, 이로써 남북 연극은 한반도와 같이 분단의 길을 걸어왔다. 그러나 현재 남북관계의 급속한 진전과 더불어 남북 예술에 대한 새로운 연구의 필요성과 대중적 관심은 어느 때보다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 기존 북한 연극 연구가 자료의 한계로 희곡적 관점에서 진행되었다면, 현재는 북한 연극을 공연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연구, 북한 연극을 객관적 자료를 토대로 편견 없이 분석하는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 어떠한 체제이든 연극예술의 가장 본질적인 요소는 배우와 관객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한 이 책은 우리 연극사의 탈분단과 우리 연극사의 완성에 기여하고자 한다.
[정치/군사]
...북한 주민의 이탈현상 때문이며, 김정은 시대는 ‘당’보다 ‘돈’을 우선시하는 북한 주민의 의식 변화 때문이다. 한편 ‘감정’을 서사 구조로 분석했을 때에는 김정일과 김정은 시대 모든 영화에서 공통되는 패턴이 나타난다. 김정일과 김정은 시대 영화는 모두 기승전결의 구조를 취하면서 관객의 감정이입을 유도하여 관객의 이성을 자극하지 않는다. 다만 김정일 시대에 ‘설화’를 활용하여 직접적 감정자극을 모색했다면 김정은 시대에는 음악을 활용해서 간접적 감정자극을 모색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다음 예술영화를 ‘주제가 선율’과 ‘감정어휘’로 분석하면, 김정일과 김정은 시대 모두 최고 지도자에 대한...
[학술논문] 해방기 남북한 희곡의 젠더정치 연구
...15 이후부터 한국 전쟁 이전까지 남과 북에서 발표된 연극을 고찰한다. 이 같은 접근은 상이한 체제의 특수성을 간과할 수 있는 것이지만, 당대 연극인들은 이념 성향을 막론하고 정치로부터 분리될 수 없었으며 이들을 움직이는 동력은 공통적으로 민족국가의 건설이었다는 점을 감안할 수 있다. 또한 당시 남북한의 연극은 창작주체가 전환기 연극의 임무를 고민하여 관객을 계몽하고자 했던 결과였고, 여성 인물을 배치하는 방식-젠더정치가 작동되는 양상에서 공통분모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두 체제의 연극은 함께 논의될 수 있으리라 보인다. 본론에서는 남한과 북한체제의 극 모두 건국의 동지와 교정 대상으로 여성 인물을 이분화한다는 점에서 흡사하다는 점에 주목한다. 그런데 해방기 민족담론과 젠더담론이 결합하는 과정에서, 남북한의...
[학술논문] 관객으로서의 탈북자: 탈북의 자기표상과 영화 수용
The primary subject of interest of this paper is the view and context of the North Korean defectors as an audience whom are viewing films representing themselves. Recent Korean films are paying much attention to topics such as diaspora, displacement, border crossing, nomadism and so forth. Parallel to such interest, attention given to the minorities has been unprecedentedly increasing lately and attention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심야 열병식에서 나타난 북한 권위주의 정권의 정당성 연출과 전략적 모호성
...‘사회적퍼포먼스’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기존 연구들이 열병식을 군사력 과시나정권 선전 도구로 국한해온 것과 달리, 본 논문은 심야 열병식이 퍼포먼스의연극적 구조를 통해 대내적으로는 정권의 정당성을 보완하고, 대외적으로는 전략적 불확실성을 연출하는 이중적 장치임을 주장한다. 이론적으로는 알렉산더의 퍼포먼스 구성요소—배경 상징, 각본, 행위자, 관객, 상징 생산 수단, 무대연출—의 작동방식을 검토한다. 특히 ‘심야’라는 비일상성과 조명, 장면 통제를활용한 연출은 김정은의 신격화와 시각 효과를 극대화하며, 무기 공개 방식은전략적 모호성을 제도화한다. 본 연구는 심야 열병식을 대내적 정당성 연출과대외적 억지력 강화를 통합하는 독자적 군사 퍼포먼스로 분석하며, 이를 통해북한...
[학술논문] 한국 반공만화영화의 선전 전략과 그 의미
...역할을 수행하는 ‘반공만화영화’가 등장하게 되었다. 반공만화영화는 실제 발생한 사건을 차용함으로써 당대의 관객에게 만화영화의 사건이 현실과 접합된다는 느낌을 주었으며, 공산당으로 인해 가족을 잃는 주동인물에게 감정적으로 동조하게끔 한다. 이것은 관객으로 하여금 북한공산당에 대한 위기의식과 공포를 조장하는 방법으로 사용된 것이었다. 그리고 관객의 위기의식을 해소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반공을 제시한다. 여기서 반공은 비인간적인 공산당에 비해 휴머니즘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그려졌으며, 보다 높은 수준의 근대화를 이룩했다는 점에서 우월성이 있는 것으로 표현된다. 관객에게 위기의식을 심어주고, 그것을 해소하는 반공사상을 긍정적으로 그려내는 것에 성공함으로써 반공만화영화는 계몽․선전의 역할을 충실히...
[학술논문] 분단과 영화 -봉합의 환상을 넘어 공존의 실천으로
... 이것은 대중이 자신의 처지를 간첩과 동일시하려는 의도에서 발생하는바 역사적으로도 간첩은 관객이 주체와 이데올로기를 봉합하는 매개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였다. 둘째로 다문화사회로 변화한 한국사회에서 탈북자가 영화의 소재도 등장하였다. 그 재현의 양상은 타자화되는 경향을 띠는데 현재는 이주 동포 간의 위계가 발생하고 있다. 조선족은 열등하고 범죄적인 이미지로 전락한 반면 탈북이주민은 여전히 중립적이거나 호의적으로 재현하는 경향이 지속된다. 셋째는 최근 새로운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소위 ‘북한 인권 영화’의 등장이다. 이것은 남북갈등의 불씨로 작용할 우려가 크다는 문제를 안고 있다. 결국 분단영화는 관객 또는 영화제작자가 주체의 불완전성을 보상받으려는 봉합 욕망의 작용이 투영된다. 그러므로 분단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