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안분석] 북한 주민의 학교 생활: ‘인민’의 재생산과 학교 일상의 수행성
... 교육과정, 규율과
학생문화라는 세 가지 차원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북한의 학교 일상에서는 근대적 학교의 특성과 북한식 사회주의의 특성이 나타났다. 대부분의 학교에서 기본적인 학교 공간 구성과 교육과정은 동일하게 적용되지만, 학교 교육환경과 교육과정 운영에 있어 학교의 지리적, 정치적, 교육적 위치성에 따른 변주가 이루어지고 있다. 특히 교육정보화 시설 등 교육환경과 시설 측면에서 도농간의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국가의 교육정책, 공식적 교육과정, 학교 규율은 학교 일상에서
학생,
교사, 학부모 등 다양한 행위자들의
상호
작용과 수행을 통해 변형되고 재구성된다. 연구 결과, 김정은 집권기 북한 교육에 대해 다음과 같이 진단할 수 있다. 첫째, 북한의 학교교육은
학생들에게 통치 이데올로기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