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양소설로서의 <광장>과 교육적 의미
...문학교과서에 『광장』이 수록되기 시작한 것은 5차 교육과정부터다. 6차, 7차, 개정 2009, 개정2011에서 이 작품의 게재 빈도수는 매우 높은 편이고, 수록 부분은 대체로 주인공 이명준이 중립국을 선택한 내용이다. 따라서 학습활동에서 다룬 내용도 이명준의 중립국 선택의 이유와 상징기법에 비중을 두었다.
교양
소설로서의 『광장』을 교육할 경우 이명준이 지닌 ‘고독한 비판자로서의 교양주체’와 이동서사의 장르적 특성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립국의 의미와 선택의 상황을 60년대의 사회사적 맥락과 연계하여 다루는 것도 의미 있을 것이다. 무엇보다 공동체 이해와 성숙한 시민의식의 함양을 위한 다원화 시대의 소설교육 텍스트로 접근하는 사고를
교양소설 차원에서 다룰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