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함경도 <새타령> 고찰
...동일한 선율로 구성되며, 선율 구성에 따른 악곡의 구조에서도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민요 새타령에 보이는 퉁소 구음 및 연주 등의 음악적 특징을 근거로 두 음악이 같은 계통의 음악이라 결론지었다. 함경도 지역 새타령에 대한 새로운 정의는 다음과 같다. 함경도 새타령은 오늘날 거의 불리지 않는
구조새타령이며, 그것이 판놀음에 삽입곡으로 변용되어 불리거나 퉁소로 연주하였다는 점은 함경도 퉁소 음악에 대한 여러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와 함께 그것이 풍각쟁이 음악이며, 퉁소 새타령에 나타나는 ‘새소리 선율형’의 출현을 근거로 그것이 봉장취의 일종이라 간주할 수 있다. 본고를 통해 그간 학계에 소개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