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공간 변화를 통해 본 시인 김우철의 정체성
...정체성에 영향을 미쳤다. 그 결과 김우철은 해방 전에는 “과도기에 태어난 보잘 것 없는 인텔리-문인”으로서 ‘카프 지방 시인’‧‘국경 시인’‧‘식민지 시인’의 정체성을 드러냈다. 또 해방 및 분단 이후에는 “평양 시내에 있는 중견 년배 시인”으로서 ‘중앙 시인’‧‘당의 시인’‧‘혁명적 랑만주의(카프) 시인’의 정체성을 나타냈다. 특히 카프 전통을 이은 ‘혁명적 랑만주의 시인’으로서의 정체성은 해방 전과 해방 및 분단 이후를 잇는 김우철의 중심축이었다. 따라서 김우철은 북한 문학 전통이 카프 문학 전통으로부터 항일혁명...
[학술논문] 중국의 동북지역 개발과 환동해권 진출의 교두보: 훈춘과 쑤이펀허 통상구의 비교 연구
본고에서 중국 동북지역 개방통상구 기능의 결절도시인 훈춘(珲春)과 쑤이펀허(綏芬河) 가 각기 지린성 창지투와 헤이룽장성 하얼빈-무단장-쑤이펀허 개발지구라는 광역경제권과 인근 북한의 라선 및 러시아의 블라디보스톡 등의 동해안 항구도시와의 관계에서 어떤 역할을 하며 발전할 것인가를 다룬다. 향후 이들 주요 통상 거점도시들 간에 어떤 관계로 발전할 것인가를 조망한다. 중국 동북지역 지역개발과 소지역 협력 및 경쟁은 제도주의 경제학 이론, 특히거래비용이론에 입각한 중앙정부 및 지방정부간의 중층적 수준의 연계 구조 하에적절히 이해될 수 있다. 다른 한편, 이들 결절도시는 성 내 주요도시와 대외 도시사이의 연계를 중시하는 측면에서는 관계망 도시이론으로 대체로 잘 설명될 수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이들 이론은 국제정치나...
[학술논문] 한국 근대시와 시적 표상공간으로서의 ‘서도’ 로컬리티 - 1920년대 시형식의 변화와 시적발화를 중심으로
...‘서도’라고 통합, 명명하여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본 연구는 김소월, 주요한, 김동환 등 근대기 신지식인의 한 그룹을 형성한 서도출신 시인들을 중심으로 이들의 ‘서도 로컬리티’의 재현 방식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면서 논거를 명확히 하고자 했다. 예컨대, 김소월 시의 근대적 요소에 기여한 감정의 적극적 발화와 시어, 운율 등은 서도의 풍습, 음악, 언어와의 관련이 깊다. 주요한의 경우는 최초의 자유시 『불놀이』로 표출된 근대시형식이 ‘(엮음)수심가 토리’의 형식과 유사한 바가 규명되었고, 김동환의 『국경의 밤』은 대륙과 접한 서도지역의 활달한 기개와 특유의 함경도 언어를 활용하여 ‘서사시’라는 새로운 시형식을 탄생시킨 것으로 보인다...
[학술논문] 윤동주의 생애와 동북아시아 협력과 소통을 위한 메시지
...것이다. 윤동주 시인이 다녔던 학교의 소재지는 “간도-평양-간도-서울-도쿄-교토”이다. 오늘날로 보면 중국-북한-대한민국-일본을 자유롭게 다녔다. 이 시기 동북아 교통과 물류의 중심지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간도는 국제적인 공간이었다. 동북아시아의 국경을 넘나드는 길은 열려 있었다. 인적 물적 교류가 이루어졌고, 사람의 왕래와 함께 문화를 공유하였다. 남북한의 경제 협력과 동북아시아 경제 공동체 구성, 그리고 문화 예술 분야의 교류와 관광과 교육 분야의 협력을 통해서 21세기 새로운 르네상스를 열 수 있다. 이러한 길에 중국, 한국, 북한, 일본을 아우르는 윤동주 루트가 기여할 수 있다. 윤동주 시인은 가해국과 피해국까지 아우르며 평화와 공존의 메시지를 남겼다. 윤동주 시인의 시와 그 정신이...
[학술논문] 북한의 철도경비부대 창설과정 연구
...명은 11월 10일에 보안간부훈련소 제3소에 편입되었고, 713명은 철도보안대에 소속되었다. 이후 철도보안대는 1947년 1~3 월에 ‘평양지구·함흥지구철도보안대대’로 증편되었고, 1948년 1월에 다시 ‘철도보안여단’으로 증편되었다. 북한지도부는 1949년 1월에 철도보안여단을 ‘철도경비 제5여단’으로 개편했으며, ‘38선경비 제1여단·제3여단·제7여단, 국경경비 제2여단’을 창설했다. 내무성에 창설된 5개 경비여단이 1949년부터 철도·38선·국경에대한 경비를 전담함에 따라, 인민군은 경비임무에서 벗어나 전면전을 위한교육·훈련에 집중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