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정동영 "END 구상 중심으로 北과 포괄적 대화"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14일 "정부는 평화에 대한 국민의 염원을 무겁게 새기고, 대북정책을 추진하는 모든 과정에서 평화의 원칙을 확고하고 일관되게 실천해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정 장관은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통일부에 대한 국정감사에 출석해 한 인사말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밝힌 대북정책 3원칙을 토대로 "긴장 완화와 신뢰 회복을 위한 노력을 일관되게 기울여 나가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뉴스] 대북전단 말리고 확성기도 껐다…긴장완화 손짓에 北호응하나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이재명 정부가 대북 전단 규제에 이어 대북 확성기 방송까지 중지하는 등 남북 경색국면을 타개하기 위한 선제 조치에 나서면서 북한이 이에 호응할지 주목된다.
국방부는 11일 "남북관계 신뢰 회복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대국민 공약을 이행하는 차원"이라며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6월 북한의 오물풍선 살포 등에 대응해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 지 1년 만이다.
[통일/남북관계]
...준 통일의 영웅으로 기록될 것이다.
p.71
즉, 이번 평화 협정은 과거와 달리 북측이 일방적으로 파기하기 어려운 구조를 만들고, 만약 파기한다 해도 우리와 국제 사회가 단호하게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국가 이익을 최우선에 두고 협상을 진행할 것입니다.
p.131
남과 북은 휴전선 또는 휴전선 인근에 남북 합동 군사위원회와 남북 협력위원회를 남북 공동의 인원으로 설치하여 군사위원회에서는 쌍방이 합의하는 한도 내에서 상호 군사 정보를 교환하며, 남북이 함께하는 합동 군사 훈련도 실시하여 상호 불신을 해소하고 신뢰를 쌓아 가도록 위원회를 운영한다.
p,178
[통일/남북관계]
...포기하는 것’, ‘결국 남북을 적대적으로 내몰아 전쟁으로 귀결시킬 것’이라는 우려도 제기될 수 있지만, 오히려 점진적인 통일의 방법인 ‘사실상의 통일’, ‘과정으로서의 통일’이 비로소 닻을 올리는 시작이 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서로의 현실을 인정한 거기에서부터 대화가 돋아나고 신뢰가 싹틀 수 있다는 것이다.
저자는 이 땅에서 피스메이커가 되는 것이 자신의 소명이라고 믿는다. 대학에서 학생운동을 하고 졸업 후엔 노동운동과 빈민운동에 소극적으로 동참했다. 하지만 치열한 노동 현장에서 자신은 너무나 무력했다고 고백한다. 미련 없이 노동 현장을 떠나 실력에 맞는 방식을 찾기로 했고, 이후 대학원 진학과 결혼, 미국 풀러신학교...
[정치/군사]
...못한다면, 한국의 재래식전력과 미국의 확장억제가 결합하여 대북 핵억지를 할 수 있는가?
● 미국 확장억제의 신뢰성. 미국이 동맹 차원에서 제공하는 북핵 대비 확장억제는 동맹이 지속되는 한 신뢰에 의문을 가질 수 있는가?
● 한국의 핵무기 개발 능력. 한국은 단시일 내에 핵무기를 개발할 수 있는 재료와 기술을 충분히 확보하고 있는가?
● 한국 핵무장 시 미국과 국제사회의 반응. 한국의 핵개발은 미국의 한미동맹 가치와 이익에 해를 미치고, 국제사회는 강력한 제재를 할 것이며, 한국은 버틸 수 있을까?
● 핵무장 시 치르게 될 대가와 비용에 대한 국민여론. 핵무기 개발 시 치러야 할 국제사회의 압력, 소외, 제재 가능성을 파악한 후에도 70% 국민이 핵무장을 지지할까?
[통일/남북관계]
...자유민주적 체제를 근간으로 하는 하나의 국가 수립을 지향하는 평화적 관계로 규정될 수 있다. 남북기본합의서는 남북 간의 관계를 국가 간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의 잠정적 특수관계로 규정하고 평화통일을 위한 공동 의 노력을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의 남북관계는 양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교류와 안보의 불균형, 남북관계의 잘못된 관행의 고착, 남북 신뢰의 결여 등 다양한 문제를 내재한 채 진행되었다는 점에서 한계가 있었다. 헌법과 남북기본합의서 정신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남북관계의 정상화가 필요하다.
남북관계 정상화의 기본방향은 대한민국 헌법과 보편가치에 기반을 둔 전략적 명확성이다. 7.4 남북공동성명, 남북기본합의서, 그리고 민족공동체통일방안 등 대북‧통일정책의 근간이...
[정치/군사]
...유통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그로부터 23년이 지난 2022년, 미국표준협회는 표준과 기술 규제가 세계무역의 93%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았다. 영국표준협회는 2015년의 보고서를 통해 표준의 GDP 성장률 기여도가 약 28.4%에 달한다고 발표하였다. 글로벌 경제 속에서 국제표준의 부합화는 업무 효율을 높이고 시장을 개방하며 소비자의 신뢰를 높이고 비용 절감 효과를 충족한다.
1961년 「산업표준화법」 제정과 함께 국가표준제도를 시행해온 남한은 2022년 기준 누적 신규 국제표준 제안 건수 1,234종, ISO 회원 평가 8위, ISO와 IEC의장 간사 등 임원 250명으로 표준 선진국에 진입하였다. 남한은 2010년 IEC 정보통신 산업 분야 국제표준 제안 1위...
[학술논문] 한국의 대북정책 분석: 혼선의 원인과 새로운 모델의 탐색
...전쟁을 방지하기 위하여 현상유지와 최소한의 개입 전략이 강구되어야 한다. 반면에 남북한간 비대칭 관계를 가정하는 모델은 뻥치기 모델이 있다. 이 모델이 적용되면 한국은 대북한 압박전략을 행사해야하고, 북한은 개방협력 정책을 채택해야만 한다. 다만 북한이 비합리적 형태로 강경도발정책을 채택하는 것을 염려해야만 한다. 한국이 처한 대북한 정책의 근본적 문제들에도 불구하고, 한국은 북한에 대하여 일관된, 장기적, 국민의 합의에 기초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북한의 대남한 정책의 변화가한국의 강요보다는 북한의 내부적 변화에 의하여 초래될 가능성이 큰 점을 고려할 때, 한국의제시된 모델들에 근거하여 일관된 정책을 채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박근혜 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역시 이러한 방향으로 정해져야 한다.
[학술논문] 박근혜정부의 ‘한반도 신뢰프로세스’ 추진전략
...국민들이 공감하는 대북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둘째, 비핵화 진전여부에 따라 점진적․단계적인 추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비핵화 진전 이전단계에는 기존의 교류협력사업을 복원하는 데 주안을 두고, 개성공단 사업의 재개하여 국제화를 추진하며, 5.24조치의 해제로 남북교역과 금강산․개성 관광사업을 재개하면서 북한의 도발억제와 비핵화를 유도해야 한다. 셋째, 비핵화 진전 이후단계에는 ‘비전 코리아 프로젝트’와 금강산-설악산을 연계한 국제화된 관광사업과 같은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써 북한으로 하여금 국제사회의 일원이 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 또한 「남북기본합의서」에서 기 합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비무장지대의 평화적 이용’과 ‘군사적 신뢰구축’을...
[학술논문] 박근혜 정부의 안보 공약 평가와 정책 대안
...3번의 변화과정을 거치면서 17개의 과제로 확정되었다. 동아시아 및 유라시아를 대상으로 복합적, 중층적 다자 외교를 전개해야 하며, 가장 중요한 주변국들인 미국, 중국, 일본을 대상으로 맞춤형 양자 외교 전략을 전개해야 한다. 북핵문제의 해결 및 대응을 위해서는 기존의 정책에서 벗어나 체제 전환을 포함한 새로운 정책을 시도를 할 필요가 있다. 일관성있고 지속성있는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추진하기 위해서는 국민 협약을 만들 필요가 있다. 국방정책은 전작권 전환에 대한 재검토와 안보 컨트롤 타워 체제 및 업무의 재조정이 있어야 하며, 국방예산 증액과 복무기간 단축을 재검토해야 한다. 안보 공약을 철저히 이행하는 대통령보다는 변화되는 안보 상황을 직시하면서 가변적으로 정책을 조정하는 용기있는 대통령이 되어야 한다.
[학술논문] 국민은 선명한 대북정책기조를 바란다: 걱정되는 박근혜대통령의 「신뢰프로세스」
President-elect Park Geun Hye’s approach toward North Korea remains enigmatic, at best, on the eve of her assumption of the stewardship of the manage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s head of state. It was only on two occasions during the months that preceded the presidential election held on December 19 last year when, in an article by her name carried by the September-October 2011 issue of the
[학술논문] 남북한 접경지역의 감염병 및 자연재난 협력에 관한 연구* : 동서독 협력 사례와 비교하여
...있다. 동서독은 접경지역의 상설기구인 ‘접경위원회’를 설치하여 보건·의료, 환경, 자연재해 등 전 분야에 대해 협력체계를 구축하였고, 1973년 「재난공동대응협정」을 체결하여 접경지역을 중심으로 감염병, 환경, 재난을 최우선적으로 대응하여 상호 신뢰 구축과 군사적 긴장완화에 기여하였다. 이러한 동서독의 접경지역 협력 사례를 토대로 남북한 접경지역의 감염병과 자연재난에 대한 구체적인 협력을 통한 신뢰회복과 지속적인 협력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한다. 첫째, 남북 접경지역 교류·협력과 관련한 법규의 구체화 및 규범력 부여, 둘째, 남북 접경지역 협력을위한 상설조직 구축, 셋째, 정부, 지자체, 민간단체가 참여하는 거버넌스형 협력체계 구축. 넷째, 구속력이 있는 「재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