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45~1958년 개성 인삼업의 재편과 사회주의화
...미군정과의 갈등으로 민간인삼조합은 일원화 되었고 인삼포는 감소했다. 북한은
국영
삼포를 중심으로 인삼업이 주도되어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홍콩항을 통해 수출되었다. 한국전쟁 이후 개성은 ‘신해방지구’에 편입되었다. 북한은 인삼업의 정상화를 위해
국영
삼포와 개인경작자를 통해 인삼을 생산했으며 부족한 인삼기술자 양성에 주력했다. 개인경작자들의 증산과
국영삼포, 황해도 인삼관리소 산하 개성출장소의 노력으로 인삼업은 점차 정상화되었다. 이에 따라 인삼업은
국영
삼포와 개인경작자로 양분화 되어 생산되었다. 1955년 북한에서 농업협동화 운동이 본격화 되자 개성의 각 협동농장은 특작반을 구성하여 인삼을 생산하면서
국영삼포, 협동조합, 개인경작자로 3분화 되어 생산되었다. 1956년 전원회의 이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