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탈냉전시대 한국 통일교육의 딜레마
...반공·반북의 사이에서 딜레마에 빠져 있는 상황을 중학교 사회교과서를 분석하여 발견할 수 있었다. 문헌분석을 통한 연구의 한계는 뚜렷하여 통일교과수업을 참여관찰하거나 현장 교사들이나 학생들을 인터뷰를 한다면, 보다 구체적으로 문제와 대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헌분석을 통해서 통일교과지식의 문제점뿐만 아니라, 통일교육의 환경,
국정역사교과서 문제와 같은 닫힌 교과지식 등의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현재 한국의 통일교육은 반공주의의 틀에 갇혀 있지는 않지만, 현재의 통일교육을 받을수록 청소년들이 북한과 통일을 원하지 않게 된다면, 결국 의도와는 다르게, 현재의 통일교육은 21세기형의 또 다른 반공·반북교육일 수밖에 없다. 현재의 통일교육은 딜레마에 빠져 있다. 이러한 딜레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