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고전문학 속 이계관 연구- <금강산 팔선녀>와 <토끼전>을 중심으로
...있다. ‘결핍된 이계-완전한 지상’이라는 이계관은 크게 ‘아름다운 지상과 아름답지 않은 이계’, ‘노동이 있는 지상과 노동이 없는 이계’로 나누어 볼 수 있다. 먼저, ‘아름다운 지상과 아름답지 않은 이계’는 아름다운 조국산천과 조선인민들의 미풍양속을 보여준다. 이는
국토
애와 민족성을 강조하여 애국심을 형성할 뿐만 아니라 공동체를 공고하게 만드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노동이 있는 지상과 노동이 없는 이계’는 노동은 보람차고 신성한 것으로 노동이 ‘진정한 행복’과 ‘참된 삶’을 이루기 위해서 필수적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이러한 이계관은 노동의 가치와 보람, 노동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