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7세기 수도권 방어체제 정비와 총융청의 위상 변화
...개선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조선 정부는 각 보장처와 주요 거점에 수어청, 진무영, 관리영 등 별도 군영을 설치하는 방식으로 방어 체제를 정비하였다. 그 결과 총융청은 경기 서부 내륙 방어를 담당하는 내・외영 편제의 군영으로 재편되었다. 숙종대 후반에는 청 해적의 위협과 보장처의 실효성 논란 속에서 도성 수비 강화가 추진되었다. 중앙군영 군제의 재편 과정에서 총융청 역시 편제가 정비되었으나, 유사시 내영과 외영의 대규모 병력이 집결할 거점 마련은 여전히 과제로 남았다. 이때 북한산성이 축성되고 탕춘대가 배후기지로 정비됨에 따라, 총융청은 이를 신지(信地)로 확보해 도성과 경기 서북부 외곽 요충지를 연결하는 중추 군영으로 변모하였다. 이러한 변화는 18세기 수도권 방어체제를 도성 수비 중심으로 전환하는 결정적 기반이...
[학술논문] 17~18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조선의 도성 수비체제 이해의 방향
이 논문은 조선후기 도성 수비체제의 정비가 동아시아 국제정세의 변동과 연계되어 전개되었음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7세기 중반 명나라 멸망 이후 동아시아 국제정세는 명의 잔존 세력의 저항과 몽골의 갈단, 러시아 세력의 대두로 인해 안정적이지 못한 상황이 계속되었다. 동아시아 정세에 대응하여 조선은 도성 주변에 성곽을 축조하고 군사력을 정비하는 등 국방체제를 정비하였다. 18세기 초 일시적인 국제정세 안정에 따라 도성 방어체제 강화의 움직임은 줄어들었으나 준가르 세력의 대두로 인해 다시금 도성 수비체제 강화가 모색되었다. 아울러 조선의 도성수비체제는 한성의 도시발달과 연계되어 진전되었다.
[학술논문] 북한산성의 승영사찰僧營寺刹 ― 사찰의 역할과 운영을 중심으로
...있는 작업으로 보인다. 산성의 방위를 위해 승군이 주둔한 승영사찰은 3군영三軍營의 담당구역 내에 건축된 3대문大門‧3소문小門‧7암문暗門‧중성重城의 인근에 위치하여 대부분 성곽의 수비를 담당했다. 훈련도감訓鍊都監 소속의 상운사‧서암사‧진국사 등은 북문北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북쪽을, 금위영禁衛營 소속의 보국사‧보광사‧용암사‧태고사 등은 대동문大東門(현 대성문)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동쪽을, 그리고 어영청御營廳 소속의 국녕사‧원각사‧부왕사 등은 대서문大西門을 중심으로 하여 산성 서쪽을 방어했다. 본영인 중흥사에는 승대장僧大將이 승군 전체를 지휘하도록 했고, 각 사찰에는 승장僧將‧수승首僧‧의승義僧 등을 두었다. 산성의 방어를 위해서 3군영의 유영留營이 설치되었지만, 각 사찰은 성문에 인접하여 산성방어의 최일선에서...
[학술논문] 남북한 단군영정의 통일을 위한 제안
남북한은 단군을 공통의 국조로 모시는 단일민족이다. 그러나 현재는, (1) 남북한에서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단군영정도 서로 다르고, (2) 민간에서 출판된 책에서는 공인 영정과도 다른 다양한 단군의 모습이 사용되고 있다. 남북한의 통일시대를 준비하는 첫 걸음으로 남북한 학자들의 ‘남북한 단군영정 통일사업’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런 필자의 제안이 받아들여진다면, 남북한의 관련 학자와 단체들이 협의하여 ‘남북 공동 학술회의’를 통해 차근차근 ‘통일된 단군영정’을 준비해갈 수 있을 것이다. 이글에서 필자가 제안한 것을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첫째, 단군영정의 존안(尊顔) 모습은 요서, 요동, 한반도 북부 지역의 청동기시대 유적에서 발견된 여러 두개골의 평균치를...
[학술논문] 김정일 체제기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 (1994~2010)
1990년대 북한은 내외적으로 위기 상황을 마주해야 했다. 동구 사회주의권의 몰락과 소련의 붕괴로 냉전 체제가 해체됨으로써 국제 사회에서 고립되었고, 1994년 김일성이 사망하며 체제 위기를 맞는다. 후계자 김정일 체제도 결속을 유도했지만, 수해와 가뭄에 따른 식량난으로 ‘고난의 행군’기가 왔고, 북핵 문제로 인해 북미관계 및 남북관계가 경색되었으며 그에 따른 국제 사회의 제재 조치로 경제난이 심화되었다. 이러한 상황은 북한영화에 반영되었으며, 최악의 역경을 극복하기 위한 방편으로 군사 선행의 선군정치의 교시를 담은 선군영화들이 제작되었다. 군대와 군 생활을 담은 선군영화의 특성 상 과거의 조국해방전쟁이 소환되기도 했고 군의 적대적 표상은 미국으로 수렴되었다. 당시 북한영화의 미국 표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