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분단과 통일’의 미학예술학적 과제
...성격을 지닌다는 점에서 미학예술학의 과제이다. 둘째, 둘 다 공통감을 전제로 한다는 점에서 예술 역시 통일이라는 분단 극복이라는 정치적 프로젝트와 실천적인 행위를 공유한다. 그렇지만 정치적 통일이 궁극적인 목표가 될 수는 없다. 정치적 통일이 혁명적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더라도, 그것이 곧 문화적이고 내적인 통일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통독 이후의
그림논쟁(Bild-Streit)은 그 실상을 잘 보여준다. 주로 수령상, 사회주의 혁명투쟁과 새 국가건설, 6.25 전쟁, 국가영웅과 사회주의 ‘지상낙원’ 찬미 등을 주제로 채택하고 있는 공식적인 ‘북한미술’들은 북한의 정치체제의 통제 아래 제작되었다는 점에서, 외양상 남한의 미술과 성격을 달리하며 이질성을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