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근대식민주의에 대응한 생활문화-초상사진-
...식민지에서도 시행하여
근대
식민
주의를 파급시키고자 획책했다. 이 과정에서 대한제국은 일본의 제도를 참고하여 ‘어진’을 제작, 보급함으로써 독립성을 얻으려 했고 일반인들은 황제 ‘어진’의 소유로 독립에의 열망을 표현하여 했다. 그러나 조국이 멸망하기에 이르자 일반인들은 초상사진의 소유를 ‘존재 확인’의 수단으로 삼기 시작하여 초상사진이 식민지에서의 계급적 불평등을 강요하고 체제에의 순응과 규율에의 순종을 부추기는 도구임을 알면서도 이를 생활문화로 정착시켜 조상이나 가장의 초상사진을 대청마루에 게시하는 풍속을 정착시켰다. 이처럼 한국인은
근대
식민
주의에 대한 반응양식으로서 초상사진의 사용은 외세의 지배에 대한 독립의 의지를 드러내거나
근대식민주의 정치기술에 순응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