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동해 어족 자원의 수탈과 활용
...인한 공급 부족과 가격 상승으로 인해 대체 원료를 찾게 되었다. 이때 주목을 받은 것이 바로 魚油를 기반으로 한 硬化油였고, 魚油 및 硬化油의 생산을 위해 풍부한 지방을 함유하고 있는 정어리가 대량으로 어획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硬化油 가공공업은 군사적인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였다. 경화유 분해 과정에서 생성되는
글리세린이 바로 화약의 원료가 되기 때문이었다. 1935년 당시 소비된
글리세린의 전체 양 중 절반에 가까운 43%가 다이나마이트 및 해군의 화약용으로 사용되었다. 이와 같은 일본 유지공업의 팽창은 식민지 공업화에도 영향을 주었다. 일본의 신흥 재벌인 日窒콘체른에 의해 朝鮮窒素肥料株式會社, 朝鮮油脂株式會社 등이 설립되어 興南과 淸津에 공장을 건설하였다. 또한 이들 공장에 운영에 필요한 다량의 전기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