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지역 고려 후기 금동불 연구 -중대형 금동불을 중심으로-
...원(元) 황실의 지속적인 혼인은 물론 원 라마교(喇嘛敎) 승려의 입국, 기황후(奇皇后)의 금강산 장안사(長安寺) 불사 후원과 같이 양국 간에 정치, 경제, 문화 전반에 걸쳐 밀접한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불상은 이전 시기부터 계승된 전통적인 불상 양식이 주류를 형성한다는 특징을 보인다. 본 논고는 고려 후기 불상 가운데 북한지역에 남아있는
금동불의 현황과 특징에 주목하였다. 현재 북한지역에는 약 9구의 불상이 확인되는데 재료적으로는 대부분 금동(金銅)으로 제작된 상이다. 또한, 지역적으로는 고려시대 북계(北界)지역에 해당하는 평안도(平安道)에 3구, 서해도(西海道)에 해당하는 황해도(黃海道)에 5구, 강원도 지역에 1구의 상이 남아있어 수도인 개경 이북 지역임을 알 수 있다. 이들 상의 형식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