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58년 중국 ‘항미원조’ 전쟁 기억의 정치성과 문화적 재현의 다층성
...다종의 서사들이 혼재되어 있음에 주목해 보았다. 이에 본 글은 전쟁 기억을 구성하는 주요 변인으로 1951년과 1958년 사이 항미원조 공적 서사의 통시적 변화와 동시기 관방서사 대중서사 간 서사 층위를 분석, 항미원조 기억을 다층적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두
기록
영화 『항미원조』(1951년)와 『영웅찬가』(1958년)에서 나타나는 관방의 항미원조 서사 변화에 주목하여, 항미원조가 소환된 배경과 배후의 정치성을 살펴본다. 이것이 통시적 요인이라면, 두 번째로,
극영화 『우의』(1959년)를 분석하여 동시기 관방서사와 대중서사 간 전달 방식, 해석의 차이점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중국에서 상영된 북한 영화 『전우』와의 비교를 통해 문화적 기억의 다층성과 북·중 국제주의 상상의 균열을 들여다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