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기와 봉쇄 : 2000년대 한국 독립영화 속 북한 재현
...끝이다(박인제, 2003)나 배낭을 맨 소년(정지우, 2003)등은 윤리적 카메라 워킹과 사실주의적 관찰로 탈북 청(소)년의 자본주의사회 부적응기를 보여주었다. 독립장편영화 처음만난 사람들(김동현, 2007), 무산일기(2010) 등은 탈북자와 이주노동자의 정체성을 겹쳐두었다. 줄탁동시(
김경묵, 2011)와 마담B(2016) 등은 성소수자, 성매매자가 합법․불법의 경계를 오가며 공간을 유랑하는 모습을 선보인 실험적 기법의 영화다. 북한 출신 청소년은 이주와 떠남이 가능한 배낭을 싸든 채 길 위에 선 형상으로 선보였다. 오토바이는 남한사회에서 노동을 위한 수단인 동시에 유일한 탈주․초월의 수단이었다. 탈북자는 종종 고백을 통해 자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