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일제강점기 만주행 作家들의 내면과 心象地理 - 백석과 이효석의 러시아에 대한 동경을 중심으로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조선작가들의 심상지리 속 이상향으로서 러시아에 대한 동경과 기대가 만주에 투영되었음을 밝히고자 기획되었다. 이는 만주공간의 의미에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는 동시에, 일제강점기 조선작가들의 정신적 지향의 일단을 구명하는 일이기도 하다. 다양한 국적과 인종으로 구성된 만주는 각자의 입장에 따라 이질적인 공간으로 사유된 헤테로토피아였다. 만주로 간 이들은 저마다 미지의 공간을 향한 기대와 비전을 갖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조선인에게 만주는 곧 이상적 현실로서의 러시아를 만날 수 있는 공간으로 상상되었다. 당시 러시아문학의 유입과 사회주의의 영향으로 인해 러시아는 식민지 조선의 폐색된 현실을 벗어날 수 있는 탈출구이자 자유의 공간으로 표상되었다. 정서적‧지리적으로 러시아에 대한 친연성을 지녀온 관북인들은